전농 道연맹 ‘대북 쌀 지원 재개’ 요구했던 천막농성 풀어 농민들 “정부·지자체 쌀값 안정 대책 소홀해질까 걱정”
북한의 연평도 포격 사건이 쌀값 하락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민에게도 불똥이 튀고 있다.
농민들은 쌀값 하락 대책의 일환으로 대북 쌀 지원 재개를 요구해 왔으나 연평도 포격 사건으로 사실상 대북 쌀 지원이 어렵게 됐기 때문이다.
25일 전국농민회총연맹 경기도연맹은 지난 19일부터 쌀값 하락 대책을 요구하며 경기도청 앞에서 벌이던 천막 농성을 6일만에 전격적으로 풀었다.
지난 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으로 남북 관계가 급박하게 돌아가자 비상회의를 열고 농성을 계속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판단한 것이다.
전농 경기도연맹은 지난 19일부터 경기도청 앞에서 벼 수백포대를 야적한 뒤 천막을 치고 쌀값 폭락에 대한 대책 마련을 요구해 왔다.
당초 전농은 천막농성을 통해 30년만의 최대 흉년에다 쌀값의 지속적인 하락으로 생활고를 겪고 있는 농민의 어려운 상황을 알리고 정부와 지자체 등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지속적으로 요구할 방침이었다.
농민들의 요구사항에는 대북 쌀 지원을 통한 쌀값 안정 등 내용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쌀값 안정을 위해 그동안 주장해 온 대북 쌀 지원 재개 요구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으로 민심이 악화되면서 필요성을 강조할 명분이 사라지게 됐다.
농민들은 당초 지난 2008년부터 대북 쌀지원이 중단되면서 쌀재고가 늘어 쌀값 하락의 원인으로 지목하고 쌀값 안정을 위해 쌀 지원을 재개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특히 농민들은 북한의 갑작스런 연평도 포격 피해가 발생하면서 대북 쌀 지원이 당분간 어렵게 되는 등 농민들의 쌀값 하락에 따른 대책 요구가 미 반영될 것을 우려했다.
전농 경기도연맹 관계자는 “북한의 갑작스런 도발로 농민들의 쌀값 하락 등 문제가 소홀히 다뤄질까 걱정”이라며 “정부와 지자체는 연평도 사태와 별도로 쌀값 안정 대책을 마련,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올해 경기도 벼 평균 수매가는 지난해 40㎏짜리 1가마당 지난해 4만9천20원보다 8% 하락한 4만5천원선으로 잠정 결정되는 등 쌀값 하락이 현실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