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대한 사업비·민자사업 무산 우려

인천시, 제2외곽순환로 일부 구간 직접 건설 논란

신흥동~북청라IC 11.3㎞ 구간 통행량 많은 알짜 노선

 

재정위기 속 사업 무산땐 수백억 위약금 물어야 할 판

 

인천시가 당초 민자사업으로 추진하던 수도권 제2외곽순환고속도로(순환도로) 일부 구간을 직접 건설키로 결정, 논란이 일고 있다.

 

시가 직접 건설하려는 구간이 통행량이 많아 자칫 사업 자체가 무산될 수 있는데다, 수천억원의 막대한 사업비 마련도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30일 시에 따르면 인천김포고속도로㈜는 지난 2006년부터 공사비 1조136억원을 들여 총 연장 240㎞ 규모 순환도로의 11%를 차지하는 중구 신흥동∼김포시 양촌면 28.57㎞ 구간(6차로)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시는 최근 경인고속도로 직선·간선화사업 추진을 위해 이 계획을 전면 수정, 시비 4천700억원을 들여 신흥동~공항고속도로 북청라IC까지 11.3㎞ 구간을 직접 건설키로 결정했다.

 

이는 국토해양부로부터 경인고속도로 직선화구간에 대한 고속도로 접속 허가를 비롯해 서인천IC~가좌IC 구간의 일반화 승인을 받기 위해선 오는 2016년까지 순환도로가 반드시 완공돼 인천항 물동량을 분산시켜야 한다는 분석에 토대를 두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시가 직접 건설할 경우 자칫 순환도로 민자사업 자체가 무산될 우려가 높다.

 

인천항에서 경인고속도로 직선화 연결구간을 지나는 신흥동~북청라IC 구간이 가장 통행량이 많아, 민자사업자는 알짜배기 노선이 다 빠진 나머지 17.27㎞ 구간만 건설해야 해 사업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무산될 경우 한국개발연구원(KDI)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의 적격성 심사가 이미 경인아라뱃길 구간 사업비 증액분 분담비율 협의만 남긴 단계여서 시가 위약금 수백억원을 물어야 한다.

 

수천억원대 사업비 마련도 문제다.

 

사업비 4천700억원에 경인아라뱃길 구간 사업비 증액분(2천억원)과 청라지구 지하화(2천억원)와 신흥동 지하구간까지 더하면 총 사업비는 1조원을 육박한다.

 

국비 지원을 받는 일반도로와 달리 이 고속도로는 단 한푼의 국비도 지원받을 수 없어 재정위기에 처한 시가 막대한 사업비를 마련할 수 있을 지도 불투명하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전체 구간 가운데 이 구간만 무료 통행구간이 되기 때문에 국토해양부가 승인해 줄지 걱정”이라며 “사업비는 북항과 청라지구 개발이익금으로 일부 충당하는 등의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