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무역’으로 제3세계 돕는다

市, 지자체 첫 ‘착한 소비운동’ 전개… 北제품 포함시켜 남북교류 활성화

인천시가 지방자치단체로는 최초로 ‘공정무역(Fair Trade)’ 도시 조성에 나선다.

 

1일 시에 따르면 최근 한국공정무역연합회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북한을 비롯한 네팔, 방글라데시 등 경제적으로 어려운 국가에서 생산되는 상품들을 구입하고 판매 수익금을 되돌려주는 공정무역을 추진한다.

 

기존 무역이 생산자에게 돌아가는 이윤을 최소화, 최대의 이윤을 추구하는 것과 달리 공정무역은 제3세계에서 정직하게 생산된 환경친화상품을 무역과정을 최소화해 제값에 구매, 제3세계가 자립할 수 있도록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착한 소비’운동이다.

 

시는 연내 전문가와 관련 단체들이 참여한 공정무역운영위원회를 구성, 이를 바탕으로 지역 연고 단체가 주도한 공정무역단체를 컨소시엄 형태로 선정할 계획이다.

 

연내 공정무역 필요성, 대북 공정무역 추진방안,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등을 논의할 세미나 및 토론회 등도 열어 공정무역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도 형성할 예정이다.

 

지역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으 협조를 얻어 커피나 의류 등 공정무역을 통해 들여온 상품을 전용 판매하는 코너도 설치한다.

 

시를 비롯해 구·군과 공사·공단 등이 소비하는 커피나 차 등도 모두 공정무역 제품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시는 앞으로 공정무역 개념을 남북관계에 접목, 나물이나 된장 등 북한 제품을 공정무역 제품에 포함시켜 지자체 차원의 남북무역 활성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공정무역 인증제도와 공정무역단체 지원 등을 담은 공정무역 지원조례를 제정하고 공정무역 교육관을 운영하는 등 가칭 ‘공정무역도시 신나는 인천’을 장기적으로 법인화, 지역 내 ‘윤리적 소비운동’ 확산도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지자체 차원에서 공정무역 추진이 쉽지만은 않지만 사회적 기업들을 활용, 적극 추진하겠다”며 “제3세계 국가 자립을 도와주는 공정무역에 많은 시민들이 관심을 기울일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