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하천과의 거리를 고려한 수해 대비 우선지역 선정과 지역별로 차별화된 대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8일 경기개발연구원의 ‘수해지 분포특성에 따른 토지이용 관리방안’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수해 피해지 분포를 분석한 결과 주택 침수는 하천 100m 이내, 농경지 침수는 50m 이내의 피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경기연은 이 구간을 집중 관리하면서 별도의 홍수지도 제작이 어려운 지역에 대해 토지이용 관리 적용기준을 감안한 관리 우선지역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최소한 주택과 농경지 피해 관리에 있어 토지이용 관리 적용기준을 반영해 국가·지방하천을 포함한 세류하천 인근의 피해도가 높은 지역에 대한 토지 매입이 수해를 줄이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경기연은 주택과 농경지의 침수피해는 서로 다른 공간 분포가 원인인 만큼 지역별 차별화된 관리 방법으로 접근할 것도 주문했다. 구예리기자 yell@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