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직증축·일반분양 불허, 45.3% 보류·중단
리모델링을 추진 중인 경기도내 아파트 상당수가 사업성이 떨어져 사업을 보류하거나 중단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가 최근 리모델링 추진 단지의 숙원이던 수직증축과 가구수 증가를 불허하기로 함에 따라 리모델링을 포기하는 아파트 단지가 늘어날 전망이다.
2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수도권에서 리모델링을 추진한 아파트는 총 163개 단지 10만3천914가구로 이 가운데 작년 말 기준 74개 단지4만7천164가구(45.3%)가 사업을 보류 또는 중단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는 전체 50개 단지 4만7천839가구 중 19개 단지 2만33가구(41.9%)가 사업을 중단했다.
도내에는 준공한지 17~18년이 지난 분당, 평촌 등 1기 신도시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리모델링이 추진돼 왔다.
성남시(분당신도시)의 경우 수도권을 통틀어 가장 많은 16개 단지 1만7천205가구가 리모델링을 검토해 왔으나 현재는 11개 단지 1만1천658가구만 추진 의사가 있고, 나머지 5개 단지 5천547가구는 사업을 잠정 중단한 상태다.
리모델링 사업 추진이 이처럼 지지부진한 것은 재건축과 달리 가구수 증가에 따른 일반분양이 불가능해 사업성이 떨어지는 곳이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반분양 수입이 없는 리모델링은 조합원들이 전체 공사비를 분담금 형태로 부담해야 하는데 준공 후 시세는 이에 못미치는 것이다.
현재 공동주택 리모델링은 전용면적의 30% 이내에서 수평 증축해 가구 면적을 늘리거나, 지상 1층을 필로티(기둥)로 만들고 1개 층을 수직 증축하는 것까지만 허용하고 있다.
부동산114 김규정 본부장은 “앞으로 집값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사업추진 속도를 늦추거나 중단하는 단지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