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광찬 국가위기관리실장
전쟁 등 효율적인 위기관리를 위해 경기도에 위기관리 전담조직 편성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안광찬 국가위기관리실장은 12일 경기도 2청에서 열린 ‘정부의 위기관리 및 전시관리 체제와 경기도’라는 주제의 초청 강연에서 이같이 밝혔다.
안 실장은 “전시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비상계획관’이 현재는 서울과 제주에만 있다”고 지적한 뒤 “경기도에 비상계획관을 포함해 4~5명으로 구성된 위기관리 전담조직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위기발생시 주민대피·철수 계획, 화학·생물학 공격시 방호대책, 주민 철수·이동 및 교통통제계획, 피난민 수용·구호 계획 등 즉각 시행할 수 있는 전시대비 계획을 수립하고, 평상시 군경 협조체제를 긴밀히 유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안 실장은 “한 국가에서 전쟁을 수행할 때는 군부대 뿐 아니라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정부는 정부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국민을 보호해야 하고, 군사작전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도 역할과 관련, 안 실장은 “3군 사령부와 함께 통합방위지원본부를 꾸려 인력 동원, 건설 복구, 물자 보급, 급식 수송, 의료 구호, 통신 등 총괄적인 지원을 맡는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안 실장은 “연평도 포격 도발을 계기로 국민 개개인 모두가 안보에 대한 위기의식, 관심을 갖고 민방위 훈련에 자발적,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평상시 가정에 방독면이나 의료구호세트 같은 비상대비 물품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그는 “경기도는 ‘대한민국 국방과 안보의 핵’이자, 인구와 국력의 50%가 모여 있는 곳”이라며 “북한의 경기도 도발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사태의 중요성을 인식해 공고한 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당부했다. 북부취재본부=김동일기자 53520@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