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민간 미분양주택 전·월세로 돌린다”

건설업체와 구체적 공급 방안 논의… 공기업 물량도 전환 추진

경기도가 주택 전·월세 가격 안정화를 위해 공기업 및 민간 미분양 주택물량을 전·월세로 공급하도록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18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이후 연말까지 도내 전세가격이 4.2%나 급등했으며 올해 도내 전세 공급물량이 10만3천186가구에 그치는 반면 수요는 11만가구에 달해 전·월세난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도는 민간이 보유 중인 미분양 주택물량을 전·월세로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민간의 미분양 주택물량은 용인 3천215가구, 남양주 521가구, 하남 305가구, 이천 215가구, 안산 116가구, 화성 115가구 등 모두 7천552가구에 이르며 도는 이들 물량이 전·월세로 전환되면 전·월세난이 상당히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이번 주 중 해당 건설업체와 회의를 갖고, 전·월세 공급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그러나 미분양 주택 대부분이 중대형이어서 전세보증금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데다 건설업체들도 자금흐름을 걱정하고 있어 다각적인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함께 도는 도시공사의 미분양 주택물량을 전·월세로 공급하는 방안도 추진할 방침이다.

 

김포 한강신도시와 양촌신도시에서 142가구, 파주 당동지구에서 120가구 등 총 262가구 규모를 전·월세로 공급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도는 조만간 건설업체 및 도시공사와 협의를 거친 뒤 4월 이전까지 미분양 주택의 입주를 완료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정부가 최근 공공의 미분양 주택을 전·월세로 공급하는 방안을 발표했지만 LH의 공공주택 물량이 특정지역에 편중돼 있어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며 “따라서 민간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주택 미분양물량을 전·월세로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