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폐쇄… 쓰레기대란 오나

인천시 2016년 매립종료 앞두고 기간연장 반대… 道, 대책마련 부심

오는 2016년 인천시 서구 일대 수도권 매립지 폐쇄를 앞두고 광역지자체간 의견이 크게 엇갈리면서 경기도내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25일 도와 일선 시·군에 따르면 지난 1992년부터 경기도와 서울시, 인천시 등 수도권 지역의 쓰레기를 매립해 온 수도권매립지가 오는 2016년 매립완료될 예정이다. 그러나 수도권 매립지를 사용하는 지자체들간 입장이 현격한 차이를 보이면서 갈등을 빚고 있어 쓰레기 처리를 둘러싼 마찰이 일고 있다.

 

특히 수도권매립지가 위치한 인천시가 매립기간 연장에 강력 반대하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제2매립장(408만7천㎡) 사업기간이 2016년 종료되는 만큼 원칙적으로 매립기간 연장을 받아들일 수 없으며 수도권 매립지 부지에 공원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한 상태다.

 

반면 서울시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은 매립기한 연장을 주장하며 인천시의 반대에 대한 대안으로 순환매립 방식 적용을 제시하고 있다. 순환매립은 기존 매립지 외곽지역에 순환방식으로 처리해 특정지역에 매립이 집중되는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방식이다.

 

이런 가운데 도는 쓰레기 매립장의 사용기간 종료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못하면서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도는 인천시장이 행사하고 있는 매립지 관리 및 매립허가권을 정부가 행사할 경우 순환매립이나 연장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국회의원들과 물밑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또 도는 이날 이같은 방안의 관철을 위해 이날 화성과 평택, 남양주, 김포, 고양, 시흥, 안양, 안산 등 관련 8개 시·군의 환경담당자들과 회의를 가졌다.

 

도 관계자는 “정부가 수도권매립지에 대한 허가권을 행사할 경우 도가 서울시, 인천시와 같이 쓰레기 매립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며 “도내 지역 국회의원들을 상대로 이같은 내용을 설명했다”고 말했다.   박성훈기자 pshoon@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