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감사관제’ 전문성 강화 시급

市교육청 도입… 공무원 감사활동 참관수준 그쳐 2년간 실적 없어

인천시교육청이 도입한 ‘시민감사관제’가 실효를 거두기 위해선 기존의 참관 위주에서 실제로 감사에 참여하는 폭을 확대하고 감사 연수를 정례화, 전문성을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다.

 

25일 시 교육청에 따르면 내부 감사의 투명성과 공무원 부조리행위에 대한 감시망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2009년부터 시민감사관제를 시행, 매년 5∼6명을 위촉해왔다.

 

하지만 시민들 위주로 위촉되면서 감사분야별 전문성이 떨어지고 역할도 대부분 공무원들의 감사활동을 참관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시 교육청 역시 내부 치부를 드러내는 감사에 이들을 직접 참여시키는데 인색하다.

 

당초 이들에 대해선 반부패 추진기획단 활동을 비롯해 위법 부당한 행정사항 시정 건의, 부패유발 제도·관행시정 건의, 공무원 비위·부조리 행위 제보 등의 역할들이 주어졌으나 지난 2년 동안 실적도 없다.

 

특히 교육감 요청이 있을 경우 감사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놓고도 특별·사안 감사나 민원조사 등에 이들의 참여를 허용한 사례는 드물다.

 

시 교육청은 이에따라 올해 시민들을 포함해 공인회계사, 건축사, 전·현직 교감 등 각 분야별 전문가 13명으로 재위촉하고 시민감사관제 기능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시 교육청 관계자는 “그동안 시민감사관제가 형식적으로 운영된 점을 개선, 올해부터는 시민감사관 구성을 전문화했다”며 “다음달 이들을 대상으로 감사연수를 갖고 종합감사 및 부분감사 등에 실질적으로 참여시킬 방침”이라고 밝혔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