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당내 갈등 조짐… 민주 “대통령 사과 있어야”
여야가 이번 주부터 시작되는 2월 임시국회에서 개헌특위 구성과 무상복지 등을 둘러싸고 격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나라당은 이미 2월 임시국회 요구서를 제출해 놓은 상태며, 국회가 열리는 대로 민생법안 처리와 개헌을 논의할 특위 구성을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예산안 날치기 처리에 대한 대통령 사과가 없는 상태에서 등원은 어렵다는 입장을 유지하면서, 31일 의원총회를 열어 등원 조건에 대한 당내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특히 민족 최대 명절을 앞두고 구제역 등을 포함한 민생문제를 포함, 아덴만 구출 작전, 물가 및 전·월세난 등 주요 현안을 놓고 대규모 여론전이 전개될 것으로 예측되면서 정치권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여기에 2월 임시국회 소집을 둘러싼 여야 신경전이 여전하고, 개헌 공론화를 놓고 벌어지는 여야간, 여여간 논리 대결 역시 치열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설 정국은 여야에게 차지하는 정치적 상징성은 클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구제역 등 민생문제를 포함한 현안 대응을 위해 2월 임시국회 소집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아래 야당의 등원을 거듭 촉구키로 했다.
다만 개헌 의총을 앞두고 당내 친이계와 친박계간 물밑 신경전이 점차 가열되면서 내홍으로 치달을 조짐을 보이고 있어 당 지도부가 긴장하고 있다.
당 지도부는 일단 개헌 특위 구성의 불가피성과 건전한 당내 토론 기회 부여 등을 강조하고 있지만 친박계와 중도파가 이에 반대하면서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이 국회 정상화의 전제조건으로 여전히 예산안 강행 처리에 대한 ‘대통령 사과’를 요구하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12·8 예산 날치기에 대해 아무런 조치가 없는 상황에서 무작정 등원하기는 어렵다”면서 “31일 의원총회에서 국회 등원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춘석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한나라당이 시급하게 처리해야 할 법안이라고 내세우는 것이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개정안과 미디어랩 법안 등이다”며 “법안을 핑계로 개헌논의에 (야당을) 들러리 세우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변인은 “2월 국회를 민생국회로 만들려면 왜 야당이 필요한지를 국민부터 설득해야 한다”며 “예산을 날치기 하고 국회를 파행시킨 것에 대한 대통령의 분명한 사과가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해인·김재민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