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축산시스템으로 재정비돼야

지난해 11월 발생한 구제역으로 신묘년 시작을 전국적인 혼란에 빠트리고 있다. 비단 축산농가 뿐만 아니라 도축 및 유통관련 사업, 식당가조차 예년보다 매서운 겨울한파보다도 더욱 매서운 체감온도와 막막한 어두움에 떨고 있는 실정이다.

 

발생 2개월도 안돼 축산농가의 60% 이상이 고통을 받고 있으며 8개 시·도 272여만 마리의 소, 돼지가 살처분 됐다.

 

구제역의 통상 치사율은 55% 정도지만 강한 전염력과 각종 비환경적인 문제로 면역력이 떨어진 가축에게는 치사율이 80%를 넘는다고도 한다. 37농가에 1천327두를 키우고 있는 우리 남동구도 상황실과 2개 방역초소에 주야로 하루 20명이 동원되어 연일 방역과 경계활동을 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청정지역으로 유지되고 있어 다행스럽지만 전국은 물론 인천시 전체적으로는 43명의 수의직 공무원들이 감역지역에서 백신주사, 살처분 등 격무에 시달리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구제역 대책 활동에 2명이 숨지고 28명이 부상당했다는 소식에 소리없는 눈물을 흘리며, 쓰러지는 소와 비통에 젖어있는 농가, 사상자의 공무원 가족의 슬픔이 교차되어 지역방역의 책임을 맡고 있는 기초자치단체장의 한사람으로서 여간 송구스럽지 않다. 게다가 소의 배를 가르는 등 살처분에 동원된 공무원들의 귀에 살처분된 동물의 울음소리가 들려 잠을 못 이루는 등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시달린다는 소식도 더욱 우울하게 만든다.

 

구제역을 예방하거나 근절시킬 수 있는 치료 또는 방역대책은 없을까.

 

정부는 방역청 설치, 축산농가 책임성 확보를 위한 축산업허가제, 유통과정을 통제하기 위한 축산도매시장 개입 등 다각적인 검토를 하고 있다. 또한 축산농가에서도 축산시스템의 전환 즉 사료보급, 인공번식, 분뇨처리, 도축출하, 종사인력의 5단계의 위생적이고 현대화적인 시스템 전환이 요구된다.

 

물론 정부차원의 지원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구제역 피해에 따른 보상금, 방역비, 인건비 등 직접적 경비외에도 토양오염 관리, 축산유통의 마비에 따른 사회적비용 등 엄청난 비용을 감안한다면 축산농가의 축산시스템 현대화와 구조적인 문제의 해결에 이제는 적극 나설 때라고 생각한다.

 

제도의 변화나 개혁은 고함소리나 정부의 시책에 의해서가 아니라 불에 타고 있는 바다의 선상 위에서 선원들이 스스로 위기의식을 느끼고 배에서 뛰어 내릴 때 가능하다. 미봉책의 장미빛 안경을 벗어버리고 현실을 냉철하고 잔인하게 이해하는 것이 해결의 지름길이라 생각한다.

 

이제는 친환경적인 축산에 눈을 떠야 한다. 살을 찌우기 위해 협소한 장소에서의 사육하며 항생제 남용, 사람에게 따지면 패스트푸드 같은 인공사료와 제대로 된 분뇨처리 시설을 갖추지 못한 양축은 저항력이 약한 가축을 양산하는 결과를 빚는 것이다.

 

우리나라 축산은 전체 농림생산액에서 35%를 차지하는 비중있는 산업이다. 세계적으로는 환경과 녹색성장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어 농업생산과 환경보전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지속성장을 추구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녹색성장과 연계해 생태환경의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생태환경에 부합하는 저투입 생산방식으로 순기능을 복원하는 친환경 축산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고 그 전환점이 바로 구제역에 흔들리고 있는 우리의 축산 현실인 오늘에 있다.

 

양축공간 확장, 분뇨처리의 용지환원 또는 공공자원화, 유기사료의 자체생산이나 보급, 환경과 경제성을 감안한 관리시스템 구축 등의 선결 과제를 지금 바로 시작해야 할 일이 아닌가 한다.

 

우리 남동구도 이러한 친환경 방향에 맞추어 도시형 축산농가의 육성을 적극 검토함과 아울러 탄소배출량 저감과 생태거점을 확보해 미래 브랜드로써 생태, 녹색, 문화의 도시로 바꾸어 나가는데 노력할 것이다.  배진교 인천남동구청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