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가 보좌관제를 도입하고 도의회 의장이 의회사무처 직원에 대한 인사권을 행사할 수 있는 조례를 제정키로 했다.
14일 도의회에 따르면 허재안 의장과 김경호·강석오 부의장 등 의장단과 고영인 민주당 대표, 정재영 한나라당 대표는 이날 오후 간담회를 열고 보좌관제 도입과 인사권 독립에 관련한 2개 조례를 제·개정하는 데 합의했다.
이에 따라 도의회는 보좌관제 도입과 관련, 의원 1인당 1명의 ‘정책연구원’을 두는 것을 골자로 한 ‘경기도의회 사무처 설치조례 일부 개정 조례안’을 발의키로 했다.
정책연구원은 도의원의 요청으로 도의회 의장이 임명하도록 하고 6급 상당의 별정직공무원 신분으로 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도의회는 도지사에게 권한이 있는 의회사무처 직원들에 대한 인사를 도의회 의장이 넘겨받는 조례안도 발의한다.
현재 의회사무처에는 지방이사관급 사무처장을 포함, 167명의 경기도청 소속 공무원이 근무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고영인 대표는 “지방분권촉진에 관한 특별법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의회의원의 전문성을 높이고, 지방의회 의장의 지방의회 소속공무원 인사에 관한 독립적인 권한을 강화하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며 조례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한나라당 정재영 대표도 “보좌관제 도입과 인사권 독립은 지방의회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며 “헌법재판소의 판단까지 받아 보겠다는 각오로 조례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의회는 보좌관제 도입과 인사권 독립이 실정법 위반이라며 집행부에서 재의를 요구할 경우 재의결하고 이에 대해 집행부에서 대법원에 제소하면 헌법소원을 제기할 계획이며, 이번 2개의 조례안은 256회 임시회에서 처리될 예정이다. 구예리기자 yell@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