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농도 침출수 처리 어떻게… 지자체 고민

도내 3천62만ℓ 추산… “분뇨처리시설로는 한계, 다양한 방안 마련해야”

경기도가 21일 구제역 매몰지에서 침출수를 뽑아 가축분뇨처리시설에서 폐수처리하는 작업에 착수했으나 고농도의 침출수여서 처리에 한계를 나타낼 수 밖에 없어 일선 자치단체들이 처리에 혼란을 겪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홍영표 의원실이 미국 농무부 동식물검역청 기준(소 160ℓ, 돼지 12ℓ)으로 전국 구제역 매몰지 침출수 발생예상량이 6천156만ℓ로 추정했다. 매몰된 소 15만마리, 돼지 313만마리에서 2개월 간 배출되는 양을 추산해 산출한 것이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21일까지 경기도내에서 매몰된 소 6만7천마리와 돼지 165만9천마리에서 나오는 침출수는 3천62만ℓ로 추산된다.

 

침출수의 농도 역시 상상을 초월하는 수치로 측정돼 경기도가 시행한 분뇨처리시설을 통한 처리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이만의 환경부 장관은 20일 이천시를 방문해 분뇨처리시설 한계를 지적하며 톱밥 혼합을 통한 소각처리를 제시하는 등 침출수 처리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실제 이천시가 지난해 말 예방적 살처분 차원에서 매몰한 뒤 구제역 바이러스 음성판정을 받은 대월면 한 농장의 매몰지 침출수 농도를 조사한 결과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 8만5천ppm, 총질소(TN) 1만6천700ppm으로 일반 축산분뇨(BOD 1만3천~1만4천ppm, TN 3천200ppm)에 비해 5~6배 이상 높게 측정됐다.

 

시 관계자는 “기존 보고에 따르면 구제역 침출수 농도가 BOD 기준 8만~10만ppm으로 추정된다”며 “이런 고농도의 침출수를 희석도 트러블이 생길 수 있어 다양한 처리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천시는 일부 지자체들이 침출수에 미생물을 넣어 발효액비(액체비료)로 만드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시 농업기술센터는 침출수가 대부분 혈액이나 육즙이기 때문에 미생물로 발효시키면 냄새 없는 양질의 아미노산발효액비를 만들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 밖에도 시군마다 이만의 장관이 제시한 톱밥을 섞어 소각하는 방안, 고온멸균 처리를 거쳐 퇴비화하는 방안 등을 고민하고 있으며 일부 지자체는 악취 제거를 위한 미생물 투입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김규태기자 kkt@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