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年 인건비 4천만원 중 1천600만원만 지급 학교마다 반발
경기도교육청이 올해부터 원어민 보조교사를 200명이나 줄이기로 한 뒤 배치학교에도 연간 4천여만원이 소요되는 인건비에 턱없이 모자라는 1천600만원을 지급키로 해 일선 학교들이 반발하고 있다.
특히 일선 학교들은 무상급식 확대로 원어민 보조교사 배치사업을 사실상 포기하라는 조치라고 지적하고 있다.
21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사업비를 지원하는 원어민 보조교사 배치 학교는 모두 919개교로 지난해 1천119개교에 비해 200여곳 감소했다.
또 이와는 별도로 450개교는 도교육청 40%, 학교소재 지자체 40%, 경기도청 20% 등의 비율로 재원을 부담하는 협력사업을 통해 원어민 보조교사를 배치하게 된다.
그러나 도교육청은 올해 전액을 지원하던 919개교의 원어민 보조교사 배치에 필요한 367억여원(통상적으로 교사 1인당 1년에 4천여만원 필요)의 60%에 불과한 227억원만을 예산에 편성, 사업차질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지난 16일 원어민 보조교사 배치 대상학교에 “1천600여만원의 원어민 보조교사 배치 사업비를 지원한다”며 “원어민 보조교사 배치를 희망하지 않을 경우 통보하라”는 등의 내용이 담긴 공문을 발송했다.
이에 일선 학교들은 4천여만원에 달하는 원어민 보조교사 운영비의 40% 수준만을 도교육청이 지원한 것은 나머지 비용을 학교측에서 부담하라는 것인지, 아니면 사업을 포기하라는 것인지 혼란을 겪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도교육청 원어민 보조교사 관련 부서에는 일선 학교의 항의 및 문의전화가 빗발치고 있으며 도교육청은 추경을 통해 추가예산을 확보한다고 해명하고 있지만 학교들의 동요는 쉽게 진정되지 않고 있다.
더욱이 경기도 역시 예산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올해 원어민 보조교사 배치 협력사업비를 단 한푼도 편성치 않아 차질이 예고되고 있다.
수원 A고교 관계자는 “사실 원어민 보조교사 배치사업의 예산이 준다는 소문이 현실로 드러났다”면서 “무상급식 확대로 인해 학습효과는 물론 학생 및 학부모들로부터 인기가 높은 원어민 보조교사를 배치할 수 없는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재정여건 상 원어민 보조교사 배치사업 예산이 전액 반영되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며 “일선 학교들이 불안해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추경을 통해 예산을 확보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