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인방사<인천해역방어사령부> 이전 부지 ‘차일피일’

올 예산에 설계 용역비조차 반영 안해 … “국방부에 떠넘기려는 것 아니냐”

인천시가 국방부와 합의로 인천해역방어사령부(인방사) 이전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예산이 없다는 이유로 이전부지 결정 등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

 

이 때문에 시가 인방사 이전에 사실상 손을 놔 국가 안보를 등한시하고 기관간 신뢰도 떨어트리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8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09년 국무총리실 주재로 인천대교 건설로 인해 인방사가 이전해야 하는만큼, 모든 이전비용을 시가 부담하는 조건으로 국방부와 인방사 이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그러나 시는 지난달 인방사 이전 관련 사전 안전성 평가용역 결과 송도LNG기지 끝단과 중구 무의도 남단 등 2곳이 가장 최적지로 분석됐는데도 이전 부지 결정을 미루고 있다.

 

어느 한곳으로 이전해도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센데다, 현 인방사 부지를 개발해도 현재 부동산경기로는 송도 3천190억원, 무의도 5천억원 등 수천억원에 이르는 막대한 이전비용을 충당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 이전사업을 위한 기본설계 등을 추진할 계획이었지만 올 예산에 설계 용역비조차 반영되지 않아 시가 인방사 이전은 뒷전으로 미룬 채 국방부에 사업을 떠넘기려고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MOU를 맺을 때만해도 인천대교 개통 등을 위해 국방부에 매달리던 시가 입장을 바꾼 것이다.

 

인방사 관계자는 “천안함 및 연평도 사태 등으로 서해가 긴장 속에 있는데, 만약 전쟁으로 인천대교가 무너질 경우 인천 앞바다를 지켜야 하는 해군의 발이 완전히 묶여 국가 안보에 심각한 타격이 올 수 있다”며 “군 작전 등을 위해 부대 이전은 매우 시급한만큼, 시가 서둘러 국방부와 한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이전 부지 결정이나 사업 방법 등에 대해 논의는 이뤄지고 있지만, 아직 결정된 건 없다”며 “국방부 등과 충분히 상의하고 신중하게 처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