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로 입주 전 아파트 품질을 검수하고 있는 경기도가 입주 후 발생한 하자로 주민들과 시공사가 다투고 있는 아파트 단지에 대해서도 조정에 나선다.
도는 이런 내용의 '공동주택 품질검수 무한돌봄 운영계획'을 세워 다음달부터 시범 실시한다고 18일 밝혔다.
계획에 따르면 도는 건축사와 기술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전문가 84명으로 품질검수단을 꾸려 입주 뒤 하자를 둘러싸고 분쟁이 있는 아파트를 찾아가 해결책을 모색한다.
대상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 입주 전 품질을 검수했던 도내 공동주택 단지 319개 가운데 분쟁이 일어난 부천과 안양, 이천 등지의 5개 단지다.
5개 단지는 지하 주차장에 균열이 있거나 조경수가 고사하는 등 주택법 시행령 상 입주 뒤 2년까지 시공사가 책임지도록 돼있는 하자를 놓고 입주민과 시공사간 갈등을 겪고 있다.
검수단은 이곳의 하자 원인 등을 분석한 뒤 입주민과 시공사에 그 결과를 알려 원만히 합의하도록 하고 법적다툼 등 낭비요인을 미리 막는다는 구상이다.
도는 검수단 운영 결과를 보고 대상을 확대할지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하자담보책임기간 내 문제점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시공 상의 문제인지 입주민들의 관리부실 탓인지를 놓고 갈등이 있다"며 "검수단 운영은 정밀안전진단 비용 절감 등 입주민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도는 2007년부터 입주예정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검수단을 운영 중이다. 검수단은 입주민의 입장에서 품질을 꼼꼼히 따져 입주민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그동안 396개 단지를 점검해 품질결함 등을 자문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