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각 지자체가 예산 부족을 이유로 식목일을 맞아 나무 심기 행사를 축소하거나 시민 참여 없이 공무원들만 참여해 관상목 위주의 식재 행사를 벌이는 등 식목일의 제정 취지를 무색게 하고 있다.
4일 경기도와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도와 각 지자체는 제66회 식목일을 맞아 도내 54㏊의 산림에 14만9천900여주의 나무를 식재할 계획이다.
수원시는 지난달 29일 영통구 영흥공원에서 식목일 행사를 열고 매화와 감나무 등 7개 수종 700여주를 3천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식재했다. 그러나 4천여만원을 들여 백합 등 8종 6천600여주를 식재한 지난해보다는 다소 줄어들었다.
또 지난해 3천240주(3천200여만원)의 나무를 심은 안산시는 올해 소나무 등 3종 1천630주(3천여만원)를 식재할 예정이다.
과천시도 지난해 모감주 등 4종에 1만5천900여주를 식재했으나 이번 식목일에는 수양벚나무 70그루를 심는데 그쳤다.
이와 함께 군포시는 철쭉 동산에 매년 5천~6천여주(1천여만원)의 자산홍을 일부 공무원들이 참여해 식목일 행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의정부시도 용현동 만가대에서 잣나무 700여그루(600여만원) 심는 식목일 행사를 가질 예정이다.
반면 부천시는 자체 시비 9천150만원을 투입해 진달래, 이팝나무 등 5천여주를 식재할 방침이다.
회사원 이모씨(군포시·42)는 “10여년 전만 해도 식목일 당일에는 전국의 직장, 학교, 군부대와 마을별로 토양에 적합한 나무를 심고 가꾸는 식목일 행사를 대대적으로 실시했다”며 “점차 식목일의 제정 취지가 사라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연간 도내 나무 식재는 지난해에 비해 늘어났다”며 “식목행사는 지자체의 특성에 맞게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최원재기자 chwj74@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