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과학벨트 분산 배치… 道는 제외?

충청 중심으로 영·호남 등 과학거점 구상

정부가 ‘국제과학비즈니스’ 벨트를 지역별로 분산 배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7일 알려지면서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분산 거점지역에 경기지역은 거론조차 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미래산업의 육성이 긴요하며 여기에는 국가전체적인 과학기술의 선진화가 중추요소라고 판단, 충청을 중심으로 삼되 영·호남 등 기타 지역에도 과학거점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과학벨트를 추진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분산 배치가 추진되는 것은 백지화된 동남권 신공항 건설의 경우는 경제성이 떨어지는 소모적인 투자인데 반해 과학벨트를 위한 투자는 미래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로 지역 분산도 큰 문제가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또 이명박 대통령의 지역 대선공약에 특정 지역을 염두에 둔 ‘과학도시’가 아니라 ‘과학벨트’로 돼 있는 만큼 분산 배치가 타당하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구체적인 분산 배치 계획은 교과위 과학벨트위의 심의에 따라 결정되겠지만 과학벨트의 핵심 시설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소는 한데 묶어 충청지역에 배치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충청 입지로는 기초·응용 연구소가 집적된 대전 대덕, 생명공학·첨단의료 중심지인 충북 오송, 신도시로 조성되는 세종시가 오르내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충청의 이들 3개 핵심도시가 ‘클러스터(cluster)’를 형성해 명실상부한 과학벨트의 중심으로 육성된다는 이야기다.

 

이와 함께 기초과학연구원의 분원 등을 대구, 울산, 포항, 부산 등 영남권과 전주, 광주 등 호남권, 천안, 아산, 충주, 원주 등 중부권에 분산 배치해 지역별 과학거점화한다는 구상도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중이온가속기 등 과천 유치 등을 추진해 온 경기지역의 거점화는 거론되지 않고 있다.

 

한편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이날 열린 과학벨트위원회 첫 회의에서 “이 시점에서 교과부의 과학벨트 안이란 것은 있을 수 없으며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과학적 합리성에 기초해 판단해 달라”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