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집·배달업체 “日지진 겹쳐 이중고” 대책 촉구
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수출 감소와 공무원 화환 수수금지 조치로 인해 이중고를 겪고 있는 화훼업계가 대책마련을 위해 목소리를 높였다.
경기지역을 비롯 전국 농가 및 꽃집, 플로리스트, 유통상인들, 꽃배달업체 등 500여명은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열린 전국농민결의대회에 대규모로 참석, 집단행동에 돌입하기로 결의하고 생계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도내 화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졸업과 인사철이 시작되는 2월부터 밸런타인데이와 환경미화 등 꽃 수요가 봄을 맞아 절정에 달했지만 현재 경매 단가와 수량은 전년에 비해 30~40% 가량 줄어든 상태다.
이는 지난 2월 국민권익위원회가 공무원들이 승진·전보때 ‘3만원 이상의 꽃 선물’을 받으면 인사상 불이익을 주겠다고 밝힌 이후 대목 수요가 꺾이면서 봄장사에 큰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난달 발생한 일본 대지진으로 수출도 30% 정도 줄어든 것으로 추산되면서 이 물량이 내수로 유입돼 시장을 더욱 침체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안산에서 난 농장을 경영하고 있는 한모씨(56)의 경우 수요 감소로 출하물량이 전년에 비해 40%가 줄어 이 물량이 고스란히 농장에 재고로 쌓인 상태다.
또 꽃시장에서 도매업에 종사하는 정모씨(62)의 가게는 한달 전보다 꽃값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는데도 손님이 급격히 줄면서 매출이 10분의1 수준으로 하락해 경영난을 겪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농협과 한국화훼생산자협의회는 일본 대지진 후 수출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훼 농가들을 돕기 위해 매주 화요일을 ‘꽃 사는 날(花요일)’로 정하고 농림수산식품부 및 유관기관과 함께 범국민 꽃 소비 캠페인을 벌였지만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이처럼 악재가 겹치면서 화훼업계는 한국화훼협회를 중심으로 ‘화훼산업총연합회(가칭)’를 구성해 권익위를 항의방문하고 임시대책위원회를 구성해 대책마련을 위해 한 목소리를 냈다.
집회에 참석한 고양의 화훼 업계 종사자 김모씨는 “권익위의 꽃 선물 수수 금지 조치는 공직자 부정부패를 척결하기는 커녕 화훼업계의 어려움만 가중시킬 뿐”이라며 “화훼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