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개 시·군, 등록견 2만5천마리 불과… 평택·용인·이천 등은 1~5마리 그쳐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유기견 방지를 위해 시행한 ‘애완동물 등록제’가 3년이 넘도록 별다른 성과를 올리지 못하면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18일 도에 따르면 도는 유기견 방지를 위해 ‘생태주입형 마이크로칩’을 이용한 동물등록제를 지난 2008년 8월 성남시에서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범운영을 시작했다.
이를 위해 도는 한마리당 1만2천원이 드는 생태주입형 마이크로칩 시술비를 전액 도비에서 지원하기로 하는 ‘경기도 동물보호 및 복지에 관한 조례’를 제정, 1년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2009년 10월1일부터 시행했다.
또 2009년 7개 지역으로 대상이 넓어지면서 지난해 말에는 도내 21개 시·군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날 현재 등록제를 시행하고 있는 21개 지자체의 등록동물 수는 모두 2만5천281마리로, 연간 유기견 3만여마리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수원시가 3천308마리로 가장 많은 동물이 등록한 반면 시범사업을 했던 성남시는 195마리에 그쳤고 평택·용인·이천·가평은 1~5마리에 불과하다.
이는 애완견을 등록해 관리받아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는 견주들이 많지 않은 데다, 등록하지 않은 사람에게 3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해야 하는 지자체가 부담을 갖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도는 애완견 소유자의 인식전환을 위해 다음달부터 희망 시·군을 돌며 ‘반려동물 문화교실’과 ‘동물보호 아카데미교실’을 운영키로 했다.
또 올해 수원·성남·안산·안양·부천·고양·의정부·남양주·포천 등 9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동물등록 의무지역 지정고시도 추진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경기지역에서만 연간 3만여마리의 애완동물이 버려져 포획, 관리, 안락사에 이르는 관리비용으로 20억원 이상이 소요되고 있다”며 “불필요한 예산도 줄이고 동물보호의식도 높이는 동물등록을 지자체에서 적극 도입, 시행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규태기자 kkt@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