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진 의원 “구제역 부실 매몰지 파악조차 안돼”

“행안부, 자료는 없이 사후관리 완료 답변만”

‘경계’ 단계에서 ‘주의’ 단계로 하향 조정된지 나흘 만에 구제역이 또 발생한 가운데 전국 4천790개에 달하는 매몰지 중 매뉴얼에 따르지 않고 생매장 하거나 비닐을 깔지 않는 등 부실 매몰지에 관한 자료가 없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8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문학진 의원(민·하남)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매몰지 관리 현황’에 따르면 정부가 살처분 매뉴얼에 따라 마취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생매장 하거나 비닐을 깔지 않고 맨 땅에 파묻은 매몰지 현황을 파악조차 하지 않았다.

 

이에 문 의원은 “농림수산식품부가 작성한 ‘구제역 긴급행동지침’ 등에는 ‘소는 안락사 주사제 주입 후 매몰처리’, ‘돼지는 매몰지까지 유도로를 설치 후 마취제 주사 후 매몰처리’라고 돼 있음에도 불구, 일부 지자체가 돼지를 생매장한 경우가 전국 곳곳에서 확인된 바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문 의원은 “지난 3월 초순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매뉴얼에 따라 살처분 하지 않은 매몰지 현황을 파악하고 있느냐’고 맹형규 장관에게 질문했을 때 맹 장관은 ‘현황 파악하고 있습니다. 다 해 놨습니다, 지금’이라고 답변했었다”고 덧붙혔다.

 

그러나 문 의원은 “이후 관련 자료를 요청하는 과정에서 행정안전부는 실제로 제대로 파악한 자료는 없으며 전수조사를 거쳐 417개 매몰지에 대한 사후 관리를 완료했다는 답변만 하고 있는 상태”라고 강조했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