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조력사업 환경성검토서 반려해야”

시민단체 “주민 의견조차 수렴안한 졸속 보고서…기본계획 유보”

경인지역 환경·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강화·인천만조력발전 반대 대책시민연석회의(연석회의)는 19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환경부는 주민들의 의견조차 수렴하지 못한 강화조력발전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를 반려하고 엄청난 갯벌이 사라지는 국토해양부가 추진하는 제3차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 심의를 유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날 ‘부실, 누락, 졸속 등으로 드러난 강화조력발전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란 제하의 성명을 통해 “강화조력발전사업은 소규모 안으로 축소했다고는 하나 1조2천억원이 넘는 거대 공사로 그 영향이 심각함에도 사전환경성검토서는 가장 기본이 되는 주민들 의견조차 수렴하지 못한 졸속 보고서로 작성됐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사전환경성 검토서는 방조제 물길을 막으면서 사업지에 인접한 천연기념물 419호(갯벌 및 저어새번식지 370㎢)와 옹진 장봉도 갯벌 습지보호지역(68㎢) 훼손이 예상되는데다 한강습지보호구역에 이르는 방대한 면적의 갯벌습지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는데도 갯벌 훼손은 물론 다양한 생물과 어족자원 고갈 등에 대해 언급조차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들은 “사전환경검토서의 필수 항목인 해양수질과 해수교환률 등에 대한 예측도 빠져 있고 직접적인 피해자인 어민들에 대한 어업피해와 수산자원 피해 등에 대한 검토조차 없다”며 “결론적으로 부실 자료에 의한 환경성검토서에 대해 환경부는 수정·보완이 아니라 반려해야 하고, 국토해양부도 강화군 민관공동검증위원회 검증이 끝날 때까지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을 유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강화조력발전사업은 강화 본도와 석모도 구간 4㎞를 조력댐 방조제로 연결, 30㎽ 생산규모의 수차발전기 14기를 설치하는 프로젝트로 인천시가 한국중부발전㈜, 대우건설컨소시엄, 강화군 등과 공동으로 지난 2007년부터 추진해 왔다.  김창수기자 cs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