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자 속 세균 살피면 체질 보인다”

‘맞춤형 의료 및 약물 개발’ 실마리

사람의 소화기에는 대략 500여 종류의 미생물이 있는데, 이들 미생물들이 네트워크를이루는 유형이 3가지 중 하나에 속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람의 혈액형을 A,B, O, AB형의 4종류로 나누듯 사람의 몸속 세균 네트워크는 3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는것.

독일 하이델베르크 유럽분자생물학연구소의 페르 보르크 박사팀은 미국, 덴마크,일본 등 6개 나라 400명의 몸속 박테리아 유전자를 분석했더니 모든 사람은 3가지중 하나의 박테리아를 ‘주력부대’로 다른 미생물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으로밝혀졌다고 과학저널 ‘네이처’에 발표했다. 세 종류는 각각 다른 생물학적 특징을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나 의학자들은 이번 연구결과가 맞춤형 의료 및 약물 개발의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흥분하고 있다.

보르크 박사는 “창자 속 박테리아의 네트워크가 3종류라는 것을 지난해 3월 네이처에발표하고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가 있는지 찾았지만 놀랍게도 모든 사람이 세 가지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인종적으로도 차이가 없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이들 네트워크 유형을 ‘장(腸)유형’(Enterotype)이라고 명명했다.'Enterotype'은 곧바로 개방형 온라인 사전 ‘위키피디아’에 등재됐는데 ‘사람의소화기 내에서 세균 생태계를 바탕으로 한 유기체의 분류’로 정의됐다.

장유형 가운데 제1형은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2형은 프레보텔라(Prevotella),3형은 루미노고쿠스(Ruminococcus)가 ‘주력부대’ 구실을 하고 있었으며 유형에따라 ‘체질’이 달랐다.

1형인 사람은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능력이 좋아 비만이 별로 없다. 또 비타민B7을만드는 효소가 많았다. 2형은 배앓이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타민B1을만드는 효소는 많이 분비됐다. 3형은 포도당을 잘 흡수해서 살이 찔 확률이 높았다.물만 먹어도 살이 찐다고 불평하는 사람은 3형일 가능성이 높은 것.

보르크 박사는 “처음에 39명의 박테리아 유전자를 분석했으며 너무 적다고 생각해400명까지 확대했는데 여기서도 같은 결과를 얻었다”며 “100여 년 전 혈액형으로인간을 4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것을 안 데 이어 박테리아로 인간을 3종류로 나눌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놀라운 발견”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사람들은 △남들보다 덜 먹어도 살이 찌거나 △아무리 먹어도 ‘얄밉게’살이 안 찌거나 △평생 감기에 안 걸리거나 △요구르트만 먹으면 배탈이 나는등 각각 다른 모습을 보면서 그저 체질에 따라 다르겠거니 생각해왔다. 하지만 이번결과를 통해 창자의 박테리아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반응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됐다.

프랑스 주이-앙-조자 국립 농업연구소의 미생물유전학조사단 두스코 에를리치박사는 “이는 나이, 성별, 국적에 상관없이 나타난 결과”라며 “하지만 정확한이유와 메커니즘은 아직 밝혀내지 못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연구진은 정확한 이유를 밝혀내지는 못했지만 박테리아 유형에 맞는 치료약을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는 “1900년대 초반 혈액형의 정립으로 장기이식과 수혈이 발전했듯,이번 발견이 맞춤형 약물과 신종 항생제 개발 등을 통해 의학계에 큰 변화를 불러올가능성이 크다”고 보도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