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145개소 시설현대화 등 한해 수백억 투입 상당수 오히려 점포수·고객 줄어 효용성 논란
도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한해 수백억원의 예산이 지원되고 있지만, 상당수 시장이 오히려 점포수와 고객들이 줄어드는 등 여전히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지원의 효용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11일 경기지방중소기업청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중소기업청은 지난 2001년 제정된 전통시장 및 상점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낙후된 전통시장의 시설 및 경영현대화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도내 전통시장 186개소 중 중기청의 지원대상 시장은 145개소로, 시장 규모와 활성화 정도에 따라 A~E등급으로 구분돼 각종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이들 전통시장 활성화에 투입되는 자금은 한해 200억원 규모로, 올해는 경영혁신과 상인교육, 시설현대화 등 18개 사업에 186억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될 예정이다.
그러나 도내 상당수 전통시장이 공적자금 투입 후에도 별다른 상권활성화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천 운천시장은 지난 2년간 아케이드 조성 등 시설현대화에 20여억원의 예산이 투입됐지만 현재 시장 내 점포 60곳 중 30여곳이 문을 닫은 상태다.
지난 2005년 시설현대화 자금 5억원을 지원받아 아케이드를 조성한 안양 호계시장도 지속적인 고객 감소로 지난해 상인 10여명이 점포를 내놨지만 이 마저도 매수 문의조차 없는 실정이다.
지난 2004년부터 아케이드 조성 등 시설개선에 18억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된 안성 중앙시장은 최근 교통편이 불편해지면서 유동인구가 급감해 그동안의 시장활성화 노력이 무용지물이 될 위기에 놓였다.
이 밖에 D등급으로 분류된 시흥 삼미시장과 화성 사강시장, 가평 전통시장 등도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지원에 앞서 상권분석 등을 통한 맞춤시설 지원이나 시장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주변 환경 개선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윤판덕 안성 중앙시장상인회장은 “시장 시설을 아무리 현대화해도 노점들을 방치하고, 버스노선을 끊어버리면 무슨 소용이 있느냐”며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각적인 지원과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중기청 관계자는 “예산을 지원한다고 무조건 활성화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지원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면서 “하지만 예산지원이라도 없으면 전통시장의 사양세가 더욱 가파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호진기자 hjlee@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