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발표, 다른 원인 조사 중
11일 질병관리본부는 원인 미상의 폐렴이 유행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발표했다.
한 대학병원에 입원한 폐렴 환자 8명 중 6명의 가검물에서 20가지의 병원체 존재여부를 분석한 결과 한명에게서 감기 바이러스 중의 하나인 아데노 바이러스 53형이 분리됐지만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폐렴과는 직접적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나머지 5명에게서는 한 가지 병원체도 나오지 않았다. 가검물은 병균이 있는지 없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환자의 몸에서 채취한 물질이다.
질병관리본부는 “병원체가 분리되지 않을 때는 약물, 건강보조식품 등 산모들이 접할 수 있는 다른 위해요소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환자 진료를 담당하는 의료진이 개별 진료를 통해 임상적으로 규명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원인 미상 폐렴은 △환자에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균이나 바이러스가 발견되지 않았고 △환자들의 거주지가 모두 다르며 △환자 주변에서 추가 발병이 없었고 △임산부 외의 면역력이 약한 노인이나 어린이에게 비슷한 사례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등의 이유로 전염 가능성은 지극히 낮다고 질병관리본부는 덧붙였다.
한 대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폐렴이 발생한 지 이미 한달이나 지났는데도 다른 유사 사례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은 유행성을 걱정할 필요가 없는 것”이라며 “전염성 질환이라고 하기에는 과장된 것으로 보이고 그리 불안해 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