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비저항탐사·전자파탐사 방법 동시 추진 “한 곳만 묻었겠나”… 부대 전체조사도 검토
2일 부천시 옛 미군부대 캠프머서(현 육군 1121공병부대 주둔) 부지에서 국방부와 부천시 관계자 및 민간인, 전문가들로 구성된 민·관·군 공동조사단이 첫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공동조사단은 전 주한미군 레이 바우스씨가 미군이 화학물질을 묻었다고 주장한 캠프 머서 정문 우측 두번째 저장창고 뒤 언덕을 중심으로 전자파 탐사를 통한 물리조사를 진행했다.
캠프머서 현장조사는 지난달 31일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당일 오전 내린 비 때문에 땅속 상태가 탐사에 적합치 않아 이날로 연기됐다.
탐사업무를 맡은 한국농어촌공사 직원들은 이날 오전 오염 개연성이 있다고 판단된 기지내 주차장 앞 공터에 전기탐사를 위한 측선을 일렬로 깔아놓고 오후부터 전류를 흘려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신석철 공동조사단장이 캠프머서 현황과 조사일정 등에 관한 개괄 브리핑을 마친 뒤 공동조사단 13명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신학용 의원 등 16명은 전기비저항탐사가 진행 중인 현장을 둘러보며 농어촌공사 직원의 설명을 들었다.
전기비저항탐사는 조사지역에 측선을 깔고 전류가 흐르는 폴을 일정 간격으로 땅에 박은 뒤 전류를 흘려 보내 지하 매질의 정보를 얻는 조사방법이다.
방진복을 입은 농어촌공사 직원이 2m 간격으로 일렬로 설치된 56개 폴에 전류가 제대로 흐르는 지 확인하기 위해 기록저장장치를 주시했다.
김을영 차장(농어촌공사)은 “지하수 개발공사 때부터 전기비저항탐사를 시작했고 지하수·온천수 개발 등 지하매질 탐사 경험이 풍부하기 때문에 이번 화학물질 매몰지 확인 작업도 문제없이 수행할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당초 조사 계획은 부대 정문에서 매몰 의혹이 제기된 언덕까지 3만㎡ 면적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었으나 이날 현장 조사에 앞서 열린 회의에서 부대를 전수 조사하는 안이 제기됐다.
신 단장은 “화학물질을 묻었다면 한 곳에만 묻었겠느냐는 의견이 나와 정부 협조로 부대 전체 10만여㎡를 조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공동조사단은 전기비저항탐사와 전자파탐사 등 2가지 방법을 동시 진행하면서 1주일 안에 지하 매질 분석 작업을 마친뒤 내주 초 회의를 개최해 향후 일정과 계획 등을 재논의할 계획이다.
기초조사가 끝난 뒤에는 2단계로 지하수 수질과 토양오염 기준 초과 여부, 기타 다이옥신 등 오염물질 발생을 확인하는 개황조사가 이어진다. 개황조사에서 오염이 확인되면 3단계로 세부적인 정밀조사를 실시하게 된다.
조사단은 오는 10일까지 부대 내 3만여㎡에 대한 물리조사를 포함한 기초조사를 끝낸 뒤 지하수 수질과 토양 오염 기준 초과 여부, 다이옥신 등 오염물질 발생을 확인하는 개황조사를 할 예정이다.
개황조사에서 오염이 확인되면 3단계로 세부적인 정밀조사를 시행하게 되는데 최종 검사결과가 나오기까지는 1개월 보름 정도 걸릴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조사현장에는 원혜영·김상희·신학용 국회의원과(국방위원회), 이필구 도의원 등 20여명이 참석해 공동 대응을 논의했다. 부천=김성훈·김종구기자hightop@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