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30% 반영·1인2표제’ 환원 확정
한나라당 7·4전당대회 당헌·당규와 관련, 비상대책위원회가 결정한 ‘여론조사 배제’와 ‘1인1표제’가 모두 최종 채택되는데 실패, 기존 규정대로 ‘여론조사 30% 반영’되고 ‘1인2표제’로 치러지게 됐다.
한나라당은 7일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를 잇따라 열어 차기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뽑는 전당대회 경선 규정을 확정했다.
논란이 됐던 1인1표제와 관련, 오전에 열린 상임전국위에서 1인1표제가 1인2표제로 환원됐다.
이날 72명의 위원 중 55명(참석 32명·위임 23명)이 출석한 가운데 열린 회의에서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선거인단을 21만명으로 늘렸기 때문에 투표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윤석용 의원 등 3명의 위원이 “계파선거를 조장할 수 있다”며 비대위 안에 반대 의견을 밝혔다.
특히 친박(친 박근혜)계인 이해봉 전국위의장이 “당협위원장 대상 설문조사에서 80% 이상이 1인2표제에 찬성 의견을 제시했다”고 밝혀, 결국 ‘1인2표’로 최종 결정됐다고 안형환 대변인이 전했다.
앞서 당 사무처는 지난달 17일부터 5일간 국회의원 및 원외 당협위원장 165명을 대상으로 전당대회 경선 규정 관련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1인2표제’에 82%, ‘여론조사 반영’에 57%가 찬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오후 서울 대방동 공군회관에서 오후에 열린 전국위에서는 여론조사 배제가 논란 끝에 폐기되고 여론조사 30% 반영으로 환원됐다.
741명의 전국위 위원 중 430명(참석 164명, 위임 266명)이 출석한 가운데 열린 회의에서 “선거인단을 21만명으로 확대하기 때문에 여론조사는 반영할 필요가 없다”는 비대위 찬성 의견과 “일반 시민의 의견도 반영해야 한다”는 현행 규정 유지 의견이 팽팽히 맞섰으나 결국 비대위안이 폐기 되고 현행대로 여론조사를 30% 반영하는 것으로 결정됐다고 안 대변인이 설명했다.
앞서 오전 상임전국위 전에 의원총회에서도 전당대회 경선 규정과 관련해 친이·친박계간 논란을 빚은 가운데, 기립 표결에 부쳐져 참석의원 92명 중 ‘여론조사 반영’이 50명으로 ‘여론조사 배제’ 29명의 두배에 달했으며, ‘1인2표제’ 역시 49명으로 ‘1인1표제’가 32명보다 많았다.
이처럼 비대위안이 채택되지 못하고 뒤집어진 것은 친박(친 박근혜)와 소장·쇄신파가 연대했기 때문으로 원내대표 경선에 이어 또다시 친이(친 이명박)계에 완승을 거둔 이들 신주류가 전대에서도 파란을 일으킬 지 주목된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