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5 선언 11돌 “이행” vs “폐기”

진보·보수단체, 파주 임진각·동화경모공원서 기념행사

6·15선언 11돌을 맞아 진보-보수단체가 각각 이행·폐기를 촉구하며 집회를 가졌으나 물리적 충돌은 없었다.

 

6·15공동선언 11주년인 15일 오전 파주시 임진각과 탄현면 동화경모공원에서 진보단체와 보수단체가 각각 행사를 갖고 공동선언 이행을 촉구하거나 폐기를 촉구했다.

 

이날 오전 11시 6·15공동실천남측위원회는 임진각 망배단에서 약식으로 ‘평화통일민족대회’를 열었다. 평화통일민족대회는 남측위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회사, 각계 대표연설, 6·15공동선언문 낭독, 공동호소문 등 순으로 1시간 동안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임진각 통일전망대에서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했던 손학규 대표를 비롯해 민노당 이정희 대표, 국민참여당 권태홍 최고위원 등 야당 인사들이 자리를 함께했다.

 

김상근 남측위원회 상임대표는 대회사에서 “정부는 시대정신인 평화통일을 막고 있지만 8천만 겨레의 평화통일은 지금도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확신이 우리에게 있다”며 “2012년 총선과 대선에서 우리는 다시 평화의 시대를 열어가겠다. 그래서 2013년 6월 6·15공동선언 13주년 기념 민족 공동행사를 기어코 한반도에서 개최하겠다”고 말했다.

 

손학규 대표는 “남북이 서로 함께 사는 길을 찾아야 한다”며 “정부가 평화적 민간 교류, 인도적 대북지원사업의 길만이라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정희 대표도 “11년 전 6·15공동선언은 남북이 공동 번영의 길로 나가자는 소중한 약속이었다”며 “정부가 지금이라도 6·15정신을 살려 남북 대화의 장에 나선다면 민노당은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측위원회는 행사에 앞선 오전 9시30분 통일대교 남단에서 통일부의 방북 불허에 대한 기자회견을 갖고 6·15공동선언 이행과 천안함 사태 이후 대북지원을 전면 중단한 ‘5·24조치’ 철회를 촉구했다.

 

또 이들은 이날 개성에서 북측위원회와 공동으로 열기로 한 ‘평화통일민족대회’가 통일부의 방북 불허조치로 무산된 것과 관련해 정부에 남북대화 재개와 인도적 대북지원에 나설 것도 요구했다.

 

보수단체인 황해도중앙도민회도 이날 오전 11시30분 파주시 탄현면 동화경모공원 망배단에서 회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6·15선언 폐기를 위한 대북풍선 날리기 행사를 진행했다.

 

황해도민회 김한극 수석부회장은 “11년 전 6·15공동선언은 헌법에 명시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통일정책에 위배되는 연방제 통일방안을 수용한다는 것”이라며 “대한민국의 헌법과 자유민주체제를 사수하기 위해 공동선언의 원천무효를 주장하며 폐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황해도민회는 당초 평화통일민족대회가 열린 임진각 망배단에서 같은 시각인 오전 11시 이 행사를 개최하려 했으나 양 단체간 충돌을 우려한 임진각상인회의 요청을 받아들여 이날 오전 일찍 장소를 변경했다.

 

황해도민회는 ‘연평도 포격·천안함 사태를 명심하고 안보의식을 강화하자’는 내용의 결의문을 낭독한 뒤 6·15선언을 폐기해야 한다는 내용의 전단 18만장을 대형 비닐 풍선 3개에 매달아 북쪽으로 날려보냈다.

 

한편 경찰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임진각 외곽에 경력 3개 중대를 배치했다.

 

파주=김요섭기자 yoseop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