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계 부품협력사 "고사 위기" 아우성

도내 130곳 “수급조절제 확대 시행땐 생산량 감소 불가피”

건설기계 수급조절제도 확대 시행을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도내 130여개 건설중기 부품 협력업체들이 생산량 감소로 고사 위기에 처했다.

 

19일 건설기계협회와 건설기계산업협회 등에 따르면 국토해양부는 지난 2009년 덤프트럭과 콘크리트혼합트럭에 대해 한시적으로 등록을 제한한 수급조절제도를 굴삭기와 콘크리트 펌프 등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에 건설기계 과잉공급을 주장하는 건설기계협회는 강한 지지입장을 표명한 반면 생산업체 측인 건설기계산업협회는 이같은 조치가 국제법 및 FTA 위반이라며 수급조절제 확대 총력 저지에 나선 상태다.

 

이런 가운데 강제적 수급조절 시 안산 시화공단에 밀집된 도내 130여개의 건설중기 협력업체들의 일감이 크게 줄어 생존권이 심각하게 위협받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특히 업체들 사이에서는 S사와 D사 등 중장비를 생산하는 대기업들이 국내 수요 제한 등을 이유로 해외로 생산기지를 이전할 경우 관련 산업 자체가 존폐 위기를 겪게 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유압기를 생산하는 A사의 경우 연간 7~8천여대 분량의 부품을 대기업에 납품하고 있지만, 수급조절제 시행시 납품량이 절반 이하로 감소해 공장가동 자체가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굴삭기용 링기어 생산업체인 B사도 수급조절제 시행으로 납품량이 급감할 경우 인원 감축에 이어 일부 생산설비 매각까지 추진중이지만, 수급조절제 시행 방침이 알려지면서 구매 문의조차 없는 실정이다.

 

도내 한 굴삭기 제조업체 관계자는 “굴삭기 한대에만 3만3천개의 부품이 들어간다”며 “수급조절제 시행시 생산량이 30% 수준으로 줄어 대기업 협력사들이 입는 피해 규모는 상상을 초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진기자 hjlee@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