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한 吳’ 시장직 사퇴 수순… 여권 ‘혼돈 속으로’

서울 무상급식 주민투표 불발

여 “사실상 승리…완패한 것” 당내 내분 조짐

야 “복지이슈 선점… 야권 통합작업에도 속도

김지사 ‘위기는 기회’… 대권 대안주자로 부상

24일 실시된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 결과, 투표율이 33.3%에 훨씬 못미치는 25.7%에 그쳐 개표조차 이뤄지지 못함에 따라 여권은 혼돈에 빠졌고, 야권은 환호했다.

 

서울시장직을 내걸고 배수진을 친 오세훈 시장은 주민투표에 패배함에 따라 시장직 사퇴 수순을 밟을 전망이며, 김문수 경기지사는 ‘위기와 동시에 기회’라는 분석이 나와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날 주민투표 결과는 여야는 물론 향후 정국에 메가톤급 파장을 불러올 전망이다.

 

■ 여권= “승리”·“완패”라는 주장이 엇갈리면서 내분이 재연될 조짐이다.

 

홍준표 대표는 투표마감 직후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오 시장이 사실상 승리했다”고 자평했다.

 

홍 대표는 앞서 오전에도 “투표율이 25%만 넘으면 패배가 아니다”면서 “이번에 투표한 사람은 전부 한나라당 지지층이기 때문에 내년 총선에서 청신호가 켜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25%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면서 “완패한 것”이라는 반박이 나온다.

 

당 지도부와 오 시장간 엇박자를 드러낸 점 등을 들어 홍 대표 체제로는 내년 총선 승리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으며, 친박(친 박근혜)계가 소극적이었던 점을 들어 친이(친 이명박)·친박계간 갈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같은 혼돈 양상은 오 시장의 사퇴시기 등을 놓고 계속될 전망이다.

 

당 지도부는 오 시장이 최소한 9월30일 이후 사퇴, 내년 4·11총선과 함께 보선이 치뤄지기를 원하나 당장 사퇴를 주장하는 야권의 공세가 문제다.

 

한나라당은 개표가 이뤄지지 못한 만큼 ‘단계적 무상급식’이 패한 것은 아니다라는 주장이어서 ‘전면적 무상급식’의 승리를 주장하는 야권과 논란도 계속될 전망이다.

 

■ 야권= 향후 정국의 주도권을 쥐고 오 시장의 즉각적인 사퇴를 주장하며 전면 무상급식의 기세를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복지이슈를 선점했다는 자축과 함께 야권 통합작업에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오 시장이 사퇴를 늦출 경우 추석 연후 직후 이뤄지는 국감은 서울시에 맞춰 총공세를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오 시장이 사퇴하더라도 증인으로 출석시키겠다는 것이 민주당의 주장이다.

 

하지만 당 일각에선 보수층의 역결집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특히 민주당은 투표 자체를 거부한 전략에 대해 향후 선거에서 “신성한 한 표를 던져달라”는 호소가 먹히겠느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 김 지사= 위기와 동시에 기회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위기’는 오 시장이 사퇴하게 됨에 따라 김 지사가 ‘수도권 지킴이’로 남게 돼 내년 대선출마에 부정적인 이미지가 확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향후 보선에서 서울시장을 야권에 내줄 경우, 김 지사가 대선출마를 위해 사퇴하면 경기지사도 야권에 내줄 수 있다는 우려가 발목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기회’는 홍 대표 체제로는 내년 총선이 어렵다는 우려가 확산될 경우 대안주자로 떠오르거나 불안한 보수층이 김 지사쪽으로 모여질 수 있다는 점이다.

 

향후 서울시장 보선에서 한나라당이 패할 경우 당 지도부 사퇴론이 나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대표도전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고, 대선주자로서 대표출마가 어렵다면 확실한 보수층의 대안주자로 자림매김을 통해 박근혜 전 대표와의 경쟁주자로 떠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