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주민들 “시내 전체가 北 타깃”… 내년 선거 맞물려 거센 반발 예고
제주도 강정마을이 해군기지 건설을 놓고 주민 간 찬·반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인천해역방어사령부(인방사)의 송도국제도시 내 이전이 태풍의 핵으로 떠오르고 있다.
22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정부의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에 따라 중구 연안항에 위치한 해군 인방사와 해양경찰서가 오는 2020년까지 송도국제도시 끝 송도신항에 각각 길이 600m와 400m의 부두를 신설해 이전한다.
그러나 제주 해군기지 건설을 놓고 주민들과 시민단체의 반발이 거센 것처럼 송도 주민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아 시와 군 모두 이전 추진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송도국제도시 입주자연합회 등은 “송도 신항으로 이전한 인방사 부두를 북한이 방사포로 공격하려 할 경우 오차 범위에 있는 송도 시내 전체가 표적이 될 수 있다”면서 “주민 반대 서명 등을 통해 인천시와 정부를 상대로 인방사 송도 이전 불가 방침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이전비용(3천190억원 추산)에 대한 부담까지 안고 있는 시는 지난 2월 인방사 이전 관련 사전 안전성 평가용역 결과 송도LNG기지 끝단과 중구 무의도 남단 등 2곳이 가장 최적지로 분석됐는데도, 부지 결정조차 하지 않고 이전을 미루고 있다.
게다가 최근 왕재산 간첩사건에서 북한의 지역 내 주요 타깃으로 제17보병사단 102연대, 제9공수 특수여단 등 군부대를 비롯해 인천항, 인천시청 등 주요 시설까지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민들의 반대는 내년 선거 등과 맞물려 더욱 거세질 기세다.
인방사 측은 아예 벙어리 냉가슴 신세다.
전시상황이 발생해 인천대교가 공격을 받아 무너지면 인천항이 봉쇄, 유사시에 함대가 적을 쫓아 해상 출격도 못해 보고 갇혀 버리는 신세가 될 수 있어 이전이 시급하지만, 제주 강정마을 논란으로 이전에 대해 말도 꺼내지 못하고 있다.
시의 한 관계자는 “인방사 이전에 대해 지금은 아무도 섣불리 행동을 취하지는 못하지만, 언젠간 터질 시한폭탄이다”면서 “국방부 측과 이전 부지 결정이나 사업 방법 등에 대해 논의 중이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