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 환경부 LNG 車 시범보급사업 계획 철회로 수십억 ‘헛돈’
한국가스공사가 인천국제공항에 45억원을 들여 지은 LNG 충전소가 수요 예측에 실패해 무용지물로 전락하는 등 예산만 낭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가스공사와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속 이명규 의원(한·대구북갑) 등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지난 2008년 공항리무진 및 공항화물차량에 LNG를 공급, 친환경 물류체계 구축을 위해 ‘인천국제공항 LNG 충전사업 시행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이에 따라 가스공사는 2009년부터 1·2단계로 나눠 총 45억원을 들여 LNG 충전기 6대와 26t LNG 저장탱크 4기 등 400대 충전 규모의 충전소를 설치했다.
당시 가스공사는 환경부의 LNG 자동차 시범보급사업 추진 계획에 근거, 지난 2009년 138대, 지난해 68대, 올해 81대, 내년 156대 등 모두 443대의 공항 리무진과 화물차가 LNG로 대체될 것으로 추정, 이 사업을 추진했다.
그러나 환경부가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이 계획을 철회하면서 사실상 가스공사가 건설한 LNG 충전소를 이용할 충전대상 차량 자체가 없어졌다.
특히 가스공사는 환경부의 차량생산 지원보조금에 대한 명확한 보장도 없고, 시범사업조차 불투명한 상태에서 구체적인 경제성 분석 등도 없이 환경부의 회의자료만을 근거로 2009년 2월 충전소 건설공사를 계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해 가스공사는 충전소를 다 지어놓고도 2년여가 지나도록 운영을 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매년 2억800만원에 달하는 과도한 임대료가 부담되자 서울지방항공청에 준공시기를 내년 3월로 연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은 “이처럼 혈세를 날리게 된 것은 가스공사가 LNG 차량 보급을 주도한 환경부나 서울시 등과 MOU 하나 체결하지 않은 채 주먹구구식으로 사업을 진행했기 때문”이라며 “나 홀로 충전소가 된 만큼 감독기관인 지식경제부가 책임소재를 밝혀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