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울로 코엘료, 그 내부로의 여행 '알레프'

세번째로 떠난 순례길 감상 담아

파울로 코엘료가 돌아왔다. 2년 만이다. ‘연금술사’, ‘11분’, ‘브리다’ 등으로 국내에서도 탄탄한 독자층을 확보한 그가 이번에는 자신의 이야기를 들추어낸다. 자신의 생에서 세 번째로 떠난 순례길에서 겪고 느낀 이야기다. 길 위에서 보낸 네 달간의 시간, 시베리아 횡단 열차를 타고 간 긴 여정 속에서 그는 자신 내부로의 여행을 떠난다. 생과 죽음, 이 세상과 또 다른 세상. 이야기는 미묘한 주제인 ‘환생’으로 번져가며 우리를 다른 차원의 세계로 초대한다. 코엘료가 들려주는 신비하고 기묘한 속삭임, ‘알레프’(문학동네 刊)다.

 

“우리가 ‘생’이라고 부르는 것은 여러 개의 객차로 이루어진 기차와도 같은 것입니다. 때로는 이 칸에 탔다가 때로는 저 칸에 타고, 꿈을 꾸거나 기이한 경험에 휩쓸리면 이 칸에서 저 칸으로 가로지르기도 하는 것이죠.”(본문 중에서)

 

코엘료는 1986년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로 순례를 떠난 지 20년 만인 2006년 다시 순례길에 오른다. 생애 세 번째 순례길로 ‘성스러운 길’이라고 이름 짓는다. 성스러운 길에서 그는 넉 달을 보내며 막바지에 시베리아 횡단여행을 하게 된다. 횡단 여행을 앞두고 다른 여행자 ‘힐랄’을 만난 코엘료는 시간과 공간을 여행하는 신비로운 경험을 한다. 낡은 일상을 벗고 다시 태어나는 한 영혼과, 끝은 또 다른 시작임을 깨달은 그는 새로운 출발을 이야기한다. 아울러 새로운 시작은 과거에 대해 속죄하고 바로잡아야만 진정한 의미를 갖게 된다고 덧붙인다. 시베리아 횡단 열차를 타고 떠난 9천288㎞의 긴 여정이 끝났을 때 우리는 뭉클한 감격에 잠긴다. 그리고 정말로 원하는 일을 위해서는 위험을 감수해야 하며, 실패를 즐길 줄 알아야 한다는 작가의 메시지를 되새기게 된다.

 

알레프란 히브리어와 아랍어의 첫 글자이자, 수학에서는 모든 수를 포함하는 수를 나타내는 말이다. 코엘료는 알레프라는 개념에 근거해 우리 인간 존재가 살아가는 ‘과거도 미래도 없는 영원한 현재’로서의 시간, 우리가 우주와 교감하게 되는 특정한 공간, 그 공간에서 운명적으로 만난 이들이 발생시키는 에너지, 우주라는 거대한 육체 안에서 함께 성장하는 영혼을 특유의 섬세한 필치로 들려준다.

 

1982년 작가의 길에 들어선 이래 20년이 훌쩍 넘는 기 간동안 글을 써 왔지만, 자신을 전면으로 내세워 내면의 이야기를 드러낸 소설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가을 브라질 출간 이후, 터키, 포르투갈, 스페인, 불가리아, 네덜란드 등 세계 43개국 32개 언어로 번역돼 대다수 국가에서 출간 첫날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다시금 터진 ‘코엘료 신드롬’은 언어와 문화, 사회가 다른 제각각의 환경 속에서도 모두가 공통으로 느끼는 ‘갈증’을 방증한다.

 

실패를 즐기는 용기와 도전, 그 안에서 알게 되는 생의 기쁨과 의미에 대한 이야기는 실제 멈춤 없이 흘러가듯 살아온 작가의 이야기이기에 독려가 된다. ‘몇 개의 생을 살고있습니까’라고 조용히 물으며, 새로운 시작은 현재를 오롯이 살아가야만 가능하다는 가르침에는 자못 숙연해지기도 하다. 두려움과 떨림을 내려놓고 마음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여유, 나를 향한 여행으로 알레프가 초대한다. 값 1만3천500원

 

성보경기자 boccum@ekgib.com

 

 

파울로 코엘료는…

 

파울로 코엘료는 브라질 출신의 신비주의 작가이다. 1947년 출생 후 희곡작가, 연극 연출가, TV 프로듀서로 다양한 이력을 쌓다 45세 되던 해인 1982년 작가로 데뷔했다. 이후 자신의 첫번째 술례 경험을 바탕으로 ‘순례자’(1987)를 썼고, 이듬해 자아의 연금술을 신비롭게 그려낸 ‘연금술사’로 전세계 3천만 독자를 사로잡았다. 이후 ‘브리다’(1990),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1998) 등 발표하는 작품마다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코엘료 신드롬을 형성했다.

그는 소설을 통해 인간의 영혼과 마음, 자아의 신화와 만물의 정기에 대해 이야기한다. 자아의 내면을 탐구하라는 메시지는 독자로 하여금 자신이 자아의 삶에서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를 끊임없이 반문케 한다. 군더더기 없는 간결한 필치로 영혼을 마주하는 지점으로 독자를 이끌면서 중남미를 넘어서 유럽, 아시아 등지에서도 베스트셀러 작가로 자리잡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