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인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박기춘 의원(민·남양주을)은 국감에서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송곳 공세로 ‘야성’(野性)을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다.
경기도의원 출신인 그는 제17대 국회에 입성, 국회 운영위간사, 행자위 간사, 국토해양위 간사, 정개특위 간사, 당 사무총장·예결위원장, 경기도당위원장·원내수석부대표 등 왕성한 의정 활동을 벌여왔다.
박 의원은 지난 27일 열린 국토해양부 국정감사에서 “버스를 이용할 때 교통카드가 없으면 현금사용이 가능하나, 열차이용 시 교통카드가 없다면 요금에 500원의 보증금을 더해 자판기에 투입하고 1회권 교통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해야 한다”며 “하지만 무인화 시스템에 따라 장애인, 노인, 외국인뿐만 아니라 일반승객들까지도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바쁜 출퇴근 시간에 보증금 500원을 다시 돌려받기 위해 개찰구를 나와 다시 환급기에 가서 환급받아야 하는 서민의 불편을 대변한 것이다.
특히 경기도내 최대 현안 사업인 ‘대도시권 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개정의 필요성을 피감기관에 역설하는 등 도 현안 해결사로 나섰다.
또 박 의원은 “국토부가 작년 8월에 ‘한국교통연구원’으로부터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통행실태 분석 및 통행료 체계 조정 연구’ 최종보고서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며 “그런데도 현재 국토부는 현 징수요금 격차해소에 대한 구체적인 해법을 제시 못 하고 협약상 요금인하만 협의하고 있다”고 꼬집었다.이밖에 박 의원은 ▲도로 비탈면 낙석 방치 ▲구조조정 선박펀드, 대기업으로 흘러가는 공적자금 ▲스크린 도어(안전문) 광역철도 도시철도 격차 등을 쏟아내며 ‘매운 맛’을 보여줬다. 한편, 박 의원은 올해 2학기부터 경희대 객원교수로서 ‘공공정책세미나’를 주제로 한 강의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쓴다. 김창학기자 ch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