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제품’ 외면하는 학교들

공공기관 ‘의무 구매’ 모르고… 도교육청은 “학교장 재량” 감독 소홀

도교육청과 일선 학교 등이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녹색제품구매의무제를 ‘나 몰라라’로 일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일 도교육청과 도내 일선 학교 등에 따르면, ‘녹색제품 구매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라 공공기관은 녹색제품을 의무적으로 구매토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일선 학교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모품인 필기구를 비롯해 각종 기자재에 대해 예산 부족과 질적 수준 저하 등의 이유로 친환경 인증이 없는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도교육청은 녹색제품 구매 여부를 각 학교장의 재량권으로 판단, 연초 해당 상품 구매 계획과 실적만 취합할 뿐 관리 감독에는 소홀한 실정이다.

 

도교육청이 올해 초 도내 고등학교와 직속기관 등을 대상으로 조사 집계한 ‘2011년도 친환경상품 구매 계획’은 각종 기자재 중 친환경상품 구매 계획 수량이 48만9천810개로 총 구매 수량인 112만933개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실제로 안양의 A고등학교는 분필을 녹색 또는 친환경 인증을 받지 않은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성남의 B고등학교도 책상과 탁자를 비롯한 필기구류 등에 대한 녹색제품 구매 계획을 세우지 않고 있다.

 

A고등학교의 한 교사는 “학교 예산 집행 위원회원으로 매번 회의에 들어가지만 녹색제품 구매에 대해선 들은 바가 전혀 없다”며 “아무래도 녹색 인증을 받은 제품이 비싸고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다 보니 질이 떨어져서 그런 것 같다”고 말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가급적 학교 운영에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강제사항으로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며 “각 학교에서도 재활용 종이를 사용하는 등 녹색제품의 질이 떨어져 사용을 꺼리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류설아기자 rsa119@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