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대 정상화' 교수들도 의견 엇갈려

"구 재단 파행운영"-"학교 정상화가 우선"

경기대 정상화 추진 관련 교수회측에서는 원칙적으로 구 재단 복귀 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일부 교수는 찬성, 교수들 사이에서 미묘한 갈등이 일고 있다.

 

교수회 측은 교과부의 경기대 정상화 추진이 가시화되면서부터 비상운영위원회를 꾸리고 대책기구를 결성하는 등 적극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다.

 

종전이사들은 경기대학의 설립자가 아니며 재임 당시 경제적으로 기여한 바 없고 대학을 파행적으로 운영했다는 주장이다.

 

또 비리 당사자로서 대학을 떠난 후에도 반성하지 않고 대학발전계획과 재원조달계획이 전무한 상태에서 대학으로 복귀하면 그 피해는 학생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갈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와 관련 교수회 관계자는 “구 재단으로 복귀하는 경기대 정상화는 안된다”며 “지금까지 이사장을 비롯한 임시이사와의 면담 등에서 학교발전을 위한 비전이나 재정계획을 밝혀줄 것을 요청 했으나 S 전 총장은 혼란을 초래한다는 이유로 제시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S 총장은 재직 시에도 법인 전입금이 거의 없이 법인에 돈이 없어 직원도 학교에서 파견 받아썼을 정도여서 복귀를 반대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구 재단 복귀를 저지하려는 교수진과의 반대의 뜻을 밝힌 교수진도 ‘학교 정상화가 우선’이라는 팽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S 전 총장에 대한 혐의와 선고 사실이 대법원 판결과 달리 부풀려져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으며, 다른 재단에서 1천500억원을 지원한다면 받아들이겠다던 임시이사체제 측이 궁극적인 학교 발전 보다 S총장 복귀에 따른 개인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구 재단 복귀에 찬성하는 한 교수는 “학교가 발전적인 방향으로, 법에 거스르는 것 없이 원칙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는 것이 경기대와 학생 모두를 위한 최선의 선택”이라며 “S 전 총장의 혐의사실을 선고 확정 사실로 오해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결국 임시 체제에서는 모든 것을 자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이 체제를 하루빨리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고 거듭 밝혔다.  류설아기자 rsa119@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