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통화스와프 700억弗로 늘린다

양국 정상회담… FTA 교섭 조기 재개·北 비핵화 공조 등 합의

이명박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는 19일 정상회담을 갖고 글로벌 재정위기에 따른 선제적 대응을 위해 한일간 통화스와프를 700억달러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한·일 FTA 교섭 재개를 위한 실무협상과 함께 재개 협력을 위한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양 정상은 이날 청와대에서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양국간 긴밀한 협력 관계가 동북아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도 매우 긴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양 정상은 미래지향적 양국관계 발전을 위해 2기 한일 신시대 공동연구를 조기 출범키로 합의했다. 양국간 교역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품소재 분야에 대한 기업간 협력을 더욱 강화하는데 양국 정부가 적극 지원키로 했다.

 

양 정상은 한일 FTA 교섭을 가능한 조기에 재개하기 위한 실무협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재정위기에 따른 선제적 대응을 위해 양국간 통화스왑을 700억달러로 확대한다는데 합의했다.

 

또 양 정상은 북한의 조속한 핵폐기가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와 안전에 긴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북한 비핵화를 위해 한일간 긴밀한 공조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양 정상은 지역 및 국제무대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고 다음달 열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아세안+3, 동아시아정상회의(EAS), 내년 3월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등에서 긴밀히 협력키로 했다.

 

그러나 일본군 위안부 청구권 문제 등에는 가시적 진전을 보지 못했다. 양국 정상이 공동 발표한 합의안도 한·일간 경제·문화·인적교류 확대에 초점이 맞춰졌다.

 

다만 이 대통령은 일본군 위안부 청구권 문제와 관련해 기자회견에서 “역사를 잊지 않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 한·일 관계의 근간”이라며 과거사 문제에 대해 일본의 적극적인 노력을 주문했다.

 

노다 총리는 ‘한·일 FTA를 위해선 과거사에 대한 일본 정부의 통 큰 결정이 수반돼야 한다’는 일부 지적에 대해 “여러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그런 문제를 넘어 일·한은 대국적 견지에서 공존·공영할 수 있는 나라라는 점에서 대응하고 협의하려고 한다”고 원론적 입장만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한·일 FTA는 할 수 있으면 빠른 시일 내 하는게 좋다는 원칙을 갖고 있다”며 “FTA는 양국에 윈-윈해야 하고 업종별로 서로 견해가 다를 수 있으나 잘 조정해 할 수만 있다면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