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품비리 예방 차원 추진… 학교들 “즉시 구매 어렵다” 불만
경기도교육청이 내년 1월부터 책걸상과 컴퓨터 등 일선 학교에서 직접 구매해 온 비품을 공동구매 시스템으로 변경, 각 학교장과 교사 등은 ‘필요한 비품의 즉시 구매가 어렵고 학교 자율권을 침해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26일 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오는 2012년 1월부터 도교육청이 업체선정 및 납품관련 비리 예방 등을 목적으로 각 학교의 필요한 물품을 신청받아 정기적으로 일괄 구매하는 ‘물품 공동 구매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도교육청이 학생용 책걸상과 사물함, 칠판, 컴퓨터 등 기존에 일선 학교에서 구매계약해 온 12종 물품을 연2회에 걸쳐 필요수량 및 품목을 조사한 후 일괄구매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도교육청은 오는 12월 15일부터 계약심의위원회를 구성·운영, 내년부터 교육청 내 전담 인력 6명으로 구성한 심사부서를 설치할 예정이다.
또 1년여간 도내 지역별 비품 구매 관련 업무량을 따져 각 지역교육지원청에 전담 인력을 추가 배치할 방침이다.
하지만 일선 학교장과 교사 등은 ‘학교의 자율권과 역량을 약화시키는 시스템’이라며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
특히 각 학교의 학부모와 교육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학교운영위원회가 물품구매 업무를 담당하는 가운데, 이들을 비리의 온상으로 몰고 가는 방침이라며 강하게 비난하고 있다.
용인 A중학교 B교장은 “공동구매를 하면 물품 구매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며 “학교 실정에 맞는 것을 자율적으로 바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 관계자는 “각 학교에는 물품 구매와 계약에 관련된 예산 전문가가 없는 상황이어서 예산낭비를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이라며 “전담부서를 통해 각 학교마다 필요한 물품이 상하반기에 접수받아 부족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류설아기자 rsa119@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