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추委, 각 지자체에 건의서 제출…내년 6월까지 道→행정개편委 거쳐 대통령·국회 보고
수원을 비롯해 화성·오산 시민들로 구성된 ‘화성·오산·수원 시민통합추진위원회’가 3개 지자체의 행정구역 통합을 요구하는 건의서를 각 지자체에 제출함에 따라 주민투표가 통합여부를 결정하게 될 전망이다.
화성·오산·수원 시민통합추진위원회는 30일 수원, 화성, 오산 3개 지자체 통합 주민투표 시행에 필요한 법적 요건을 갖추기 위해 지역별 서명서를 해당 지자체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통추위는 지역별 서명운동을 통해 화성시 1만3천58명(법적 요건 7천530명), 오산시 5천504명(2천689명), 수원시 2만7천258명(1만6천333명)의 서명부 연서를 받아 최종적으로 지난 23일 해당 지자체에 제출했다.
이는 행정통합 주민투표 청구에 필요한 투표권한을 가진 주민의 50분의 1을 훨씬 뛰어 넘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3개 지자체는 통추위가 제출한 통합 건의서 서명부의 열람 및 이의신청 기간(건의서 제출 후 1주일)을 거쳤으며 현재 최종 확인 작업을 벌이고 있다.
수원을 비롯한 화성, 오산 등 모두 무효분량이 발생하긴 했지만 법적 요건을 채우는 데 별 무리가 없는 수준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3개 지자체는 최종 확인작업을 끝나는 데로 통추위에 수리통보를 한 뒤 경기도에 건의서와 함께 시 입장을 담은 의견서를 첨부해 제출할 방침이다.
경기도지사는 통합건의 서명부를 점검한 뒤 도의 입장을 담아 대통령소속 지방행정개편추진위원회에 전달하게 되며, 개편추위는 시·군·구 통합방안을 마련해 내년 6월말까지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 한 뒤, 주민투표를 거쳐 2014년 통합시가 출범하게 된다.
법적 요건을 갖춘 서명서에 큰 문제가 없으면 주민투표가 이뤄지게 된다.
앞서 통추위는 지난달 18일 발기인 대회를 열고 '통합을 위한 활동 강령' 등을 담은 발기인 선언문을 채택,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수원시 관계자는 “현재 3천300여명의 서명서가 무효인 것으로 판명, 유효표가 법적 요건을 넘기는 데는 무리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화성·오산·수원이 통합되면 852.12㎢ 규모의 면적에 인구가 200만명, 재정규모가 3조원에 달하는 광역시급 도시가 탄생하게 된다. 박수철기자 scp@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