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IPA)가 유동구조물의 연결에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턴버클(Turn Buckle)인 ‘유동구조물 연결용 턴버클’을 발명했다.
이번 발명특허 취득은 2008년 ‘바지선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등록특허 10-0817591)’와 2010년 ‘착탈식 방충재 고정장치(등록특허 10-1003248)’에 이은 세번째 발명특허 취득이다.
18일 IPA에 따르면 턴버클은 구조물이나 건축물 또는 해상구조물의 중간에 설치돼 이들 사이를 당기거나 늦출 때 사용하는 연결부품으로 각종 기계장치 및 교각의 와이어로프 장력 조절, 건축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 천장과 천장 사이 뒤틀림을 방지 등에 사용된다.
일상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기계요소 중 하나로 인천항에서는 8부두 하역장비 고정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턴버클은 단순히 하역장비 고정장치의 장력 조절만 담당하고 고정장치의 굴절 등은 포크엔드(Fork End)라는 기구를 턴버클 양단에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장력조절과 굴절에 3가지 부품이 필요했다.
그러나 이번에 개발한 턴버클은 자체로 장력조절과 다방향 굴절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자체무게가 감소해 철거·설치가 간편해졌다.
특히 개발된 제품은 유동이 발생하는 구조물 간 결속 때 구조물의 움직임에 대해 소켓이 소정 범위 내에서 함께 자유 회전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턴버클의 파손을 미리 방지할 수 있어 앞으로 사장교의 와이어로프 장력용 및 방진시설의 고정용 부품으로 사용될 전망이다.
한편, 인천항만공사는 지난 1일 특허청이 주관한 2011년 대한민국 발명대전에 작년 발명품인 ‘착탈식 방충재 고정장치’를 출품해 특허청장상인 은상을 받았고, 내년에는 올해 발명한 ‘유동구조물 연결용 턴버클’을 출품할 예정이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