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中 ‘조문외교’로 소통… 韓中 관계는 ‘불통’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을 계기로 북중간 ‘조문외교’를 통한 유대 강화가 한국의 중국 관계와 극명하게 대비된다.

 

김 위원장 사망으로 북한과 중국이 전통적인 혈맹관계를 한층 과시하고 있으나 수교 20주년을 불과 며칠 앞둔 한중관계는 상대적으로 초라한 현실을 드러내고 있다.

 

중국은 지난 19일 김 위원장 사망 발표 직후 공산당중앙위원회 등 4개 기관 명의로 조전을 보낸데 이어 후진타오 국가주석(20일), 원자바오 총리(21일) 등 정부 수뇌부가 사흘 연속으로 ‘조문외교’를 통해 북중 양국의 긴밀한 관계를 대내외에 과시했다.

 

이 같은 중국의 발빠른 행보는 북한의 급변사태로 인한 불확실성을 조기에 해소해 대북 영향력을 유지·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북한도 김 위원장 사망발표 이후 중국의 조전이나 조문을 가장 우호적이고 비중 있게 전하는 등 중국에 좀 더 가까이 접근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북한이 김 위원장 변고를 중국에 사전통보했다는 얘기도 이런 점에서 설득력이 높아 보인다.

 

이같은 북중간 조문을 통한 밀월관계 강화는 현재의 한중 관계를 더욱 초라하게 한다.

 

이명박 대통령은 북한 김 위원장의 사망발표가 이뤄진 19일 오후 2시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통화한 뒤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로 긴급대책을 논의했지만 후 주석은 통화에 응하지 않았다.

 

중국은 천안함·연평도사태, 서해상 해경 피살 등의 처리 과정에서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인 한국을 노골적으로 홀대하는 경향을 보여 오고 있다.

 

김창학기자 chki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