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천히 뛰기, 빨리 걷기보다 몸에 훨씬 좋다

근육 덜 지치고 운동 효율은 더 높아

새해 운동으로 빨리 걷기를 시작하려는 계획이 있다면 조깅으로 바꾸는 것이 좋을것 같다. 천천히 달리기가 실제로 덜 피곤하고 근육에 더 이롭다는 연구결과가나왔기 때문이다.

초속 2m로 천천히 달리면 빨리 걷을 때보다 장딴지 근육이 더 효과적으로 움직이며더 많은 가속도 에너지를 내서 신체의 스태미나 수준을 높여준다고 한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연구팀은 러닝머신 위에서 걷기나 달리기를 할 때근육이 어떻게 움직이는 지를 초음파로 촬영했다. 이로써 사람들이 각기 다른 속도로걷거나 뛸 때 아킬레스건에 연결된 종아리 뒤쪽 근육이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파악할수 있었다.

그 결과 장딴지 근육이 자동차에서 기어를 바꿀 때 작동하는  클러치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근육은 우리가 움직이기 시작할 때 아킬레스 건을늘이려는 신체 에너지가 전달되는 동안 이 건의 한쪽을 붙들어두는 역할을 한다.그 뒤에 다리 뒤쪽에 걸쳐있는 탄력성 있는 아킬레스건이 용수철처럼 튀어서 움직이면서축적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된다.

빨리 걷기를 하면 장딴지 근육이 더 힘들게 일하면서도 에너지는 덜 공급하게만들며 그 결과 우리의 스태미나를 저하시킨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초속 2m로 달리기를하는 경우 이 근육은 같은 속도로 걸을 때보다 길이 변화가 덜해서 일은 덜하면서힘은 더 많이 내준다.

이는 빨리 걷기 운동을 하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은 이유를 설명해주는결과라고 연구자인 그리고리 사비키치 박사는 말했다. “빨리 걸으면 근육이 너무나비효율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신체는 저절로 달리기에 의지하게 된다. 그래야 에너지를아껴서 편안하고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올림픽 경보 선수가 아닌 사람들은 초당 2m, 시속 7.2km로 움직일 때 걷기보다달리기가 편할 수 밖에 없다고 그는 덧붙였다. 걷는 속도를 높일수록 근육이 움직임의보조를 맞추기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걷기에서 달리기로 보조를 바꾸면 이 근육이 대체로 안정되며 달리는 속도를계속 높여도 그 행태는 크게 바뀌지 않는다. 다만 이번 연구는 최대 속도로 질주할때도 이 설명이 해당되는 지는 조사하지 않았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미국립과학원 회보에 실렸으며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이6일 보도했다.

[관련 기사]

음식과영양…새로운 트렌드 5가지

여자에게필요한 친구 8명은 누구?

실컷먹어도 좋은 ‘1월 슈퍼푸드’ 6가지

새해,조깅을 시작하고 계속하는 요령

달리기,가장 이상적인 속도는?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