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나 ‘행정인턴제’ 역시나 ‘전시행정’

道 “청년실업난 해소” 무색…참여자 취업률 조차 파악 못해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됐던 ‘행정인턴 제도’가 결국 보여주기식 이벤트에 그치고 만 것으로 드러났다.

 

행정인턴에 참여한 청년들의 취업을 지원하겠다던 경기도는 행정인턴 참가자 중 얼마나 취업을 했는지, 취업을 돕고자 추천서를 얼마나 써줬는지 조차 파악도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29일 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009년 정부가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하고자 공공기관에서 청년들을 인턴사원으로 채용하는 ‘행정인턴 제도’를 추진함에 따라 2009년 1천950명, 2010년 1천615명의 행정인턴을 각각 채용했다.

 

당시 행정인턴 참가자들은 도와 시·군 등 공공기관에 채용돼 업무 보조 역할을 하면서 월 80~100만원 가량의 수당을 받았으며, 향후 공공기관에 정식 채용되면 행정인턴 근무 기간을 호봉에 인정받을 수 있도록 했다.

 

도는 또 이들의 정식 취업을 돕기 위해 취업특강 등의 교육을 실시하고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 및 기관에 추천서를 발급해 주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행정인턴 기간이 종료된 지 일 년이 지난 현재, 도는 행정인턴에 참여했던 인원 중 취업에 성공한 인원이 얼마나 되는지, 추천서를 몇 명에게 발급해 줬는지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지 도는 행정인턴에 참가했던 인원들 가운데 기업 및 기관에 제출하기 위해 경력인증서를 발급받아간 인원만을 파악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에서 경력인증서를 발급받아간 행정인턴 참가자는 2년간 도청에서 행정인턴을 했던 401명 중 77명뿐이며, 이들 77명 역시 취업에 성공했는지는 오리무중이다.

 

도내에서 행정인턴으로 근무한 후 공공기관에 재직 중인 A 씨는 “용돈을 벌 수 있다는 것 이외에는 행정인턴 경험이 취업하는데 큰 도움이 되진 않았다”며 “주변의 친구는 추천서를 가지고 갔지만, 취업을 하지 못했다. 기관에서도 이미 퇴사한 행정인턴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행정인턴을 근무한 후 기관에 정식채용되면 호봉을 인정받을 수는 있지만, 가점을 주거나 특혜를 줄 수는 없다”며 “경기도에서 행정인턴을 한 후 타 시·도에 취업하는 경우도 많아 현재 얼마나 취업을 했는지, 공공기관에 얼마나 채용됐는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hojun@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