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후보 14명 출마지와 거주지 달라
4·11 총선에 나선 일부 예비후보자들의 주소지와 출마 지역이 달라 지역 민심을 대변하기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일 현재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에 예비후보로 등록한 인원 375명 중 14명은 출마지역과 주민등록상 거주지가 달랐다.
정당별로는 민주통합당이 9명으로 가장 많았고, 한나라당 2명, 친박연합 1명, 자유선진당 1명, 통합진보당 1명 등이었다.
지역별로는 용인 처인에 출마하는 한나라당 김길성 예비후보의 주민등록상 주소지는 용인시 기흥구이며 용인 기흥에 예비후보로 등록한 민주통합당 윤승용, 정은섭 예비후보는 각각 용인 수지구와 서울 서초구였다.
또한 안산 단원갑 지역 민주통합당 예비후보인 김대영(안산 상록구), 김학재(서울 서초구) 후보의 거주지도 출마지역과 달랐고 민주통합당 윤석규 안산 단원을 예비후보도 주소지는 안산 상록구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민주통합당 성남 수정 예비후보 임채철(성남 분당구), 친박연합 성남 중원 김기평(성남 수정구), 민주통합당 안양 만안 이종태(안양 동안), 자유선진당 안양 만안 문갑돈(시흥시), 한나라당 고양 일산서 진종설(고양 덕양), 민주통합당 의정부갑 서한옥(양주시), 민주통합당 평택갑 최중협(서울 관악구), 통합진보당 남양주갑 김창희(서울 노원구) 예비후보 등도 주소지와 출마지역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등 주민등록상 타 시·도 지역에 거주지가 있는 후보가 6명이나 있어 예비후보자들이 ‘지역 일꾼’임을 내세우는 것이 무색할 정도다.
한편, 일부 예비후보자들은 ‘지역 일꾼’임을 내세우기 위해 출마 지역으로 서둘러 주소지를 이전하고 있다.
최근 수원 지역에서 출마를 준비하는 A예비후보는 출마 지역이 아닌 인근 지역에서 출마 지역으로 주소지를 이전했다.
이처럼 주민등록상 거주지와 출마지역이 다른 예비후보자가 있는 것은 현행 선거관리법상 국회의원 선거는 거주요건이 따로 없기 때문이다.
5년 이상 국내에 거주해야 하는 대통령선거와 60일 이상 당해 지방자치단체에 주민등록을 해야하는 지방선거와 달리 국회의원 선거는 거주요건이 없다.
하지만 이같은 예비후보자들의 무성의한 태도에 유권자들은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용인 처인지역 유권자인 박모씨(41)는 “지역에 살고 있지도 않으면서 지역 현안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하는 것은 지역주민을 우롱하고 무시하는 처사”라며 “그저 국회의원 당선이 목적인 사람들이 당선 후에 지역을 위해 무슨 일을 할 수 있을 지 궁금하다”고 비난했다.
윤승재·정자연·양휘모기자 ysj@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