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인터뷰]최기동 인천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에게 듣는다

“들어주는 인천지방노동위원회가 되려고 합니다.”

 

최기동 인천지방노동위원회(인천지노위) 위원장은 “대부분 갈등은 오해에서 출발하는 경우가 많다”며 “인천지방노동위원회의 문을 두드리는 모든 이들이 속 깊은 이야기, 억울한 사정을 속시원히 털어놓으면서 갈등을 풀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대우자동차판매의 대규모 정리해고, 삼화고속 장기파업 등 노사 갈등으로 시끄러웠다. 인천지노위도 바쁘게 움직였을 텐데.

 

지난해 인천지노위는 조정사건 17건, 복수노조 교섭창구 단일화 9건, 부당해고 등 심판 630건을 접수했으며 이 가운데 354건(인정 39건, 화해 214건, 합의취하 101건)에 대해 권리구제(권리구제율 61.2%)를 했다.

 

지난 2010년에는 권리구제율 78.9%를 달성해 전국에서 가장 좋은 성과를 냈지만, 지난해는 삼화고속을 포함한 인천지역 버스업체에서 노사분쟁이 발생해 조정이 결렬되면서 구제율이 낮아졌다.

 

그러나 사회적 관심이 매우 높았던 대우자동차판매나 삼화고속 노사분쟁을 해결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대우자동차판매는 1년이 넘도록 사태가 악화되고 있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 인천지노위가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올해도 경기악화로 정리 해고나 노사 갈등이 심각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

 

올해는 경기침체로 구조조정 등을 둘러싼 노사 갈등이 우려된다. 조정이나 해고자구제신청도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복수노조 사업장이 확대되고 복수노조가 설립된 사업장에서는 노사 갈등이나 노노 간의 갈등이 불거져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복수노조 사업장을 중심으로 교섭진행상황 등을 미리 파악하고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사업장에는 조정 전지원, 본 조정, 사후조정 등 단계별 조정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 ‘준 상근조정위원 제도’를 활용해 현장조정도 강화하면서 사전 예방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노동환경이 갈수록 악화되면서 인천지노위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사건 당사자에게 충분한 진술기회를 보장하고 노사간 주장이 다른 경우라도 출석조사, 현지조사, 문서제출, 질문지 발송, 관계기관 자료요청, 증인채택 등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 공정하게 처리하겠다.

 

또 지난해 국회에서 통과된 비정규직 관련법에 따라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차별받지 않도록 차별시정 제도도 적극적으로 홍보할 예정이다.무엇보다 소통을 중요시하면서 노사로부터 신뢰받는 위원회가 되겠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