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정부 정보시스템에 ‘클라우드 컴퓨팅’ 신기술 적용

IT 예산 30% 절감… 2017년까지 60% 확대

내년부터 정부 중앙부처에서 정보시스템을 새로 만들거나 교체할 때에는 클라우드 신기술이 전면 적용된다.

행정안전부는 30일 이 같은 내용의 ‘범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추진 정보화 전략 계획’을 수립하고, 결과 보고회를 개최했다.

최근 국내외 많은 기업과 해외 선진국 정부도 IT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클라우드 신기술을 주목하고 있다.

시스템 증가로 IT 예산의 70%를 기존 시스템의 유지관리에 지출해야 하는 현상은 국·내외 모든 조직이 직면한 공통적인 정보 기술의 문제이다.

기업이 클라우드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클라우드가 IT 자원에 가상화 기술을 적용해 여러 기관이 함께 쓸 수 있도록 공유하고 필요한 양만큼만 공급해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정부통합전산센터는 2009년부터 47개 중앙부처의 IT 자원 수요를 모아 고성능서버로 통합해 공동활용하는 ‘제1단계 정보자원 통합사업’ 을 추진해 왔다.

지난해까지 개별 서버 1천334대를 통합하여 총 1천23억원의 비용을 절감했고, 올해도 660대 서버를 추가로 통합하면 510억원이 절감돼 금년도 말에는 중앙부처 IT 자원의 구축·운영비 30%(1천533억원) 절감이 예상된다.

정부는 저비용·고효율의 범용서버와 공개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가상서버를 제공하고 각 부처가 업무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고 있다.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이러한 내용을 정리, 내년부터 시작될 ‘제2단계 정보자원 통합’의 정보화 전략계획을 수립해 부처별 시스템을 저비용·고효율의 클라우드 인프라로 단계적으로 전환해, 2017년에 60%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