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젖소 씨수소’ 우유 생산능력 ‘상위 1%’

농진청 ‘국제 젖소 유전평가기구’ 참여 결과…우유 내 단백질 함량도 ‘최우수’

한국형 젖소 씨수소가 세계 각국에서 선발한 젖소 씨수소들과 함께 유전능력을 평가받아 본 결과 우유생산능력이 상위 1%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국제 젖소 유전평가기구(Interbull, 인터불)의 지난 4월 정기평가에 참여해 전 세계 씨수소 12만 5천두 중 우유생산량 상위 10 %에 포함된 고능력군에 한국형 보증씨수소 7두가 포함되는 결과를 통보받았다고 15 일 밝혔다.

특히 현재 정액을 판매하고 있는 한국형 보증씨수소 ‘유진’과 ‘유리’의 우유생산 순위는 각각 상위 1 %와 5%에 포함됐으며 우유 내 단백질 함량 순위도 상위 5%에 들었다.

인터불(Interbull)은 국제가축기록위원회(ICAR) 산하 기구로 1983년 설립돼 국제 젖소 유전능력 평가를 담당하고 있으며 현재 회원국은 미국, 영국, 일본 등 37개국이다.

우리나라는 지속되는 젖소 개량사업으로 인해 젖소 한 마리당 연간 우유 생산량은 지난 1980년 4천957kg에 불과하던 것이 1990년 6천176kg, 2010년 9천638kg으로 지난 30여년간 4천681kg이 증가했다.

이번 국제평가를 실무 진행한 조광현 농촌진흥청 가축개량평가과 박사는 “한국에서 개량한 젖소 씨수소 ‘유진’은 다른 씨수소에 비해 유량생산 능력이 1.4배 높은 개체로 지금까지는 해외에서 씨수소를 수입했지만 앞으로는 국내산 젖소 유전자원을 해외에 수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