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주유소’ 확대 방안 놓고 주유업계 ‘의견 분분’ “시장 포화상태” vs “소비자에 혜택”
주유소協“무분별한 확산에 영업난 가중” 대규모 궐기대회 열어
자영주유소연합 “명분없어”…독점적 ‘유통구조’ 먼저 개선 주장
알뜰주유소 확대 등 정부 정책을 둘러싸고 한국주유소협회와 한국자영주유소연합회, 알뜰주유소협의회 등 주유소 업계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주유소협회는 24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정부의 알뜰주유소 확산 정책이 무분별하게 이뤄져 주유소 영업환경을 어렵게 만들고 있어 폐지를 주장한다며 대규모 궐기대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에 참석한 주유소 업주 1천200여명은 알뜰주유소 확산정책 철회, 공공기관 주차장 알뜰주유소의 신규 설치 중단, 석유제품 용기판매 추진 중단 등을 촉구했다.
주유소협회 관계자는 “전국 주유소의 숫자가 2010년을 정점으로 줄어들고 있다”며 “정부가 포화 상태인 시장에 인위적으로 개입해 새로 주유소를 설치하는 것은 업계의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전시행정”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앞서 자영주유소연합회는 성명서를 내고 “알뜰주유소 반대 궐기대회는 회원들의 의견 수렴 없이 협회 윗선 일부의 의지만 반영된 것이라 명분이 부족하다”며 “국민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알뜰주유소를 반대할 것이 아니라 정유사의 독점적 가격결정권 등 유통구조를 들여다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국 SK에너지의 자영주유소 사장 200여명은 SK의 공급가 정책 등으로 매출이 급감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기 위해 지난해 7월 연합회의 전신인 한국자영주유소협의회를 창립하면서 내분이 예견됐다.
자영주유소연합회는 정부의 알뜰주유소 추진 계획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는 입장을 펴 주유소협회와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현재 회원이 1천200여명(인터넷 카페 회원수)으로 불어난 자영협의회는 협회의 개혁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주유소협회는 주유소 폴에 관계없이 1만3천여개 주유소 업주를 회원을 두고 있지만 자영주유소연합회는 SK폴 주유소 업주들이 뭉쳤다는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주유소협회의 관계자는 “연합회를 움직이는 것은 10여명에 불과한 소수에 불과하다”며 “실체없는 단체에 대응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6월말 창립한 알뜰주유소협의회는 입장 자료를 통해 “알뜰주유소 도입으로 주유소의 대(對)정유사 협상력이 높아지는 등 유통시장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국민에게 이익이 되는 알뜰주유소 정책은 확대돼야 한다”며 주유소협회의 궐기대회를 반대했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