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부머(baby boomer). 1955년부터 1963년생을 일컫는 말이다. 최근 베이비부머가 다시 화제가 된 것은 이들의 대규모 은퇴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베이비부머의 은퇴와 관련, 우리나라에서는 비관적 시나리오를 줄이어 발표하고 있다. 이들의 퇴직이 가져올 유효수요의 감소와 부채 증가 등이 주된 비판의 논거다. 생산성은 없는데 그들에게 들어가야 할 실업급여, 연금지급, 의료비용, 고령화 사회 비용 등을 문제 삼고 있는 것이다.
베이비부머의 대규모 퇴직 이전에도 IMF와 금융위기 등을 통해 대규모의 사오정과 오륙도를 양산한 우리나라다. 갑작스럽게 직장을 떠난 그들이 선택한 자영업의 고통과 실패는 알려진 대로다. 그런데도 베이비붐 세대에 대한 주요 대책 가운데 하나로 60세 정년 카드를 들고 나왔다. 당연히 경제계는 반발하고 있다. 그 타당성에 대한 검토 이전에 이들의 예고된 은퇴를 대비하지 못한 우리 사회의 모습이 더 씁쓸하다.
베이비부머는 2010년 11월 통계청 기준으로 695만명이다. 경기도 등 수도권에 절반이 살고 있다. 직업은 장치기계 및 조립 종사자가 75만명으로 가장 많다. 주거 형태는 자가 비율이 59.6%이고, 전세가 19.1%이다. 그렇다면 베이비부머의 자녀 세대인 에코세대(echo-boomer)는 어떠한가. 1979년부터 1985년생으로 954만명이다. 에코세대는 전문직 종사자가 139만명이고, 사무종사자가 112만명이다. 주거형태는 월세가 42.5%이고, 전세가 31.0%이다.
뿌리산업 기반이자 핵심 인재들
에코세대는 부모세대가 이뤄놓은 사회적 기반과 경제력 등 물질적 혜택을 누린 세대이다. 하지만 청년실업과 빈곤세대의 대명사로 지칭되기도 한다. 그러한 애증 때문일까. 에코세대와 베이비부머 세대 간 일자리 전쟁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진단도 있다. 전문가 그룹에서는 고령층의 고용연장이 청년 일자리를 빼앗는 것이 아니라는 실증적인 보고서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청년 일자리를 빼앗는다거나 고용유연화를 저해한다는 기업의 반발과 목소리도 크다. 자식을 위해 부모세대가 희생해야 한다는 정년연장 반대 논거도 있다. 앞으로 베이비붐 세대를 우리 사회와 정부가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베이비부머를 천덕꾸러기 내지 위기요소로 보는 것이 올바른가 하는 점에 대한 자성이 필요하다. 베이비부머의 주택소유 비율이 보여주는 것처럼 우리 사회에서 가장 많은 현금과 부동산을 가진 세대다. 자신들의 자산과 부를 어떻게 소비하면서, 안정적 여생을 살도록 할 것인가. 그것이 정책의 출발점이어야 한다. 자산과 소득을 생활비와 여가비용 등으로 지출해야만 내수가 확대되고, 일자리가 창출된다.
정년연장으로 경험 활용해야
베이비부머는 뿌리산업과 부품산업의 기반이자 핵심 인재들이다. 에코세대의 직업과도 중첩되지 않는다. 정년연장으로 경험과 노하우를 살리고, 뿌리산업과 부품산업의 재도약 기회로 삼아야 한다. 베이비부머에게 지급되어야 할 연금과 의료 그리고 세제 등의 혜택을 해당 기업의 고용을 위해 지원해야 한다. 그를 통해 제조업의 위기를 해소할 수 있는 전환점으로 삼아야 한다.
베이비부머의 자산과 정년 정책 등을 통해 유효수요의 창출과 내수활성화, 일자리 창출과 경제 안정, 그리고 사회보장의 충격흡수라는 다목적 효과를 거두어야 한다. 베이비부머는 사회의 위기요소도 천덕꾸리기도 아니다. 우리 사회의 자산가이자 경력자인 그들을 활용하는 것, 그것이 새 정부와 대통령이 해내야 할 고령화 정책이자 일자리 창출전략이다.
김민배 인천발전연구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