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이사철을 맞아 전셋값이 국지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최근 경매 시장에서 전세가 수준에 낙찰되는 아파트가 속출하고 있다.
19일 부동산 경매업체인 지지옥션에 따르면 수도권 일대에서 감정가 2억원 이하 주택의 9월(17일 현재)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73.3%를 기록, 4월의 78.6% 이후 5개월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 현재까지 평균 낙찰가율도 76.5%로 지난해 평균 낙찰가율(84.8%) 대비 8.3%포인트나 떨어졌다.
경매 낙찰가율 하락은 경매물건 수가 늘어나는 반면 집값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수도권 지역의 감정가 2억원 이하의 주택 경매물건수 는 1만6,74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만1,521건과 비교해 45.3%나 급증했다.
이에 따라 서울지역의 저가 아파트 전세가격의 경우 경매 낙찰가율에 근접해가고 있다.
김포시 감정동 신안실크밸리 85㎡(감정가 2억원) 역시 두 차례 유찰 후 1억3,620만원에 주인을 찾았다. 이 아파트 역시 전세가(1억원)에 3천620만원만 더 부담하면 경매로 내 집 마련이 가능한 셈이다.
지지옥션 관계자는 “한 달 이내에 경매가 진행될 예정 물건만 1천800여건에 이른다”며 “실수요자들이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지금 전세가로 충분히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